[SOH] 최근 중국이 박사 배출 1위를 기록한 이유가 중공 관료들 사이에서 학위 위조가 성행하기 때문이라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국무원 학위사무실 최신 발표에 따르면, 중국은 지난 1983년 첫 박사를 배출한 이후, 1998년에 이르러서는 박사 학위과정 재학생이 4만 5000여 명에 달했으나 지난 2004년에는 16만 5000여 명으로 급증해 지난해의 경우 박사학위 수여량이 미국을 능가하면서 세계1위를 기록했습니다.
‘신화사’ 산하의 격주간 시사잡지 ‘반월담(半月談)’ 최신호는 관리들의 ‘박사학위 대약진’이 유행처럼 번져 중앙 일부 부문은 박사 비율이 50%에 달한다면서 ‘박사 모자’가 권력부패 및 학술부패가 만나는 매개체가 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반월담’은 박사학위로 더 큰 관직을 바꿔오려는 관리들과 학위를 ‘뇌물’삼아 정부 자금을 얻어내려는 대학의 이익이 맞아떨어지면서 이 같은 현상이 나타나게 되었다고 분석했습니다.
잡지에 따르면, 이 같이 부당한 행위가 만연되면서 베이징에 재직 박사 교육원을 개설하는 지방 대학이 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심지어 필리핀,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 일부 대학들까지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등 도시에 학생 모집 사무실을 개설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문제가 심각해지자 칭화(淸華)대의 차이지밍(蔡繼明) 교수가 “수업도 제대로 받지 않은 당 간부들이 권력을 이용해 박사학위를 따는 ‘학위부패’ 현상이 만연되고 있다”며 상급기관에 고발하는 글을 발표하는 등 사회적 비난이 쏟아지기 시작했습니다.
잡지도 이 같은 현상이 정상적인 절차를 밟고 박사 공부를 하고 있는 대학원 재학생들에게 큰 상처가 될 뿐만 아니라 중국 학위의 무게를 떨어뜨리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싱가포르 ‘조보(早報)’와 인터뷰를 가진 베이징의 한 학자는 “공산당 관리들이 체계적인 수업이나 시험, 논문 없이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있기 때문에 이는 위조나 다름없다”고 말했습니다.
이 학자는 또 “권력-학위 거래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는 높지만 관련된 관리의 규모가 너무 크고 직위 또한 높기 때문에 당국도 사실 속수무책”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중공 관리들의 학위 위조문제는 지난 6월, 부패혐의로 당국의 조사를 받은 전 증권감독위원회 왕이(王益) 부주석의 서남재정대학(西南財政大學) 박사학위가 권력으로 취득했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불거지기 시작했습니다.
SOH 희망지성 국제방소 김경아였습니다.
對중국 단파방송 - SOH 희망지성
http://www.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