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한족과 소수민족인 위구르족간의 갈등이 끊이지 않는 중국 신장(新疆) 위구르자치구에서 당국이 이 지역 대부분 여성들이 사용하고 있는 부르카 착용을 금지시켜 또 다른 갈등을 빚고 있습니다.
중국신문사 5일자 보도에 따르면 당국은 신장 신위안(新源)현 거리에 일반 복장과 부르카(이슬람 여성들이 착용하는 머리에서 발목까지 전신을 가리고 눈 부위만 망사로 돼 있는 전통의상) 착용 복장의 사진이 비교된 전시물을 비치해 현지 여성들이 부르카 착용을 거부하도록 유도하고 있습니다.
홍콩 성도일보(星島日報)는 6일 신장 당국이 과거 정부 기관 등 일부 공공장소에서 테러 공격을 견제하기 위해 부르카 착용 여성의 출입을 금지한 적이 있긴 하지만 이번처럼 신장 전 지역에서 부르카 착용을 금지시킨 것은 처음이라면서 이는 당국이 부르카를 극단 종교 세력의 상징으로 보고 있기 때문이라고 전했습니다.
이번 당국의 조치에 대해 장춘셴(張春賢) 신장위구르자치구 당 서기는 올 하반기 신장 지역의 최우선 정책 과제는 반(反)테러와 안정 유지라면서 당국은 이에 대해 절대 경각심을 늦춰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습니다.
장 서기는 최근 당 위원회 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사회 안정 유지를 위해 테러리즘을 차단하고 방지하는 것은 힘든 일이긴 하지만 극단 종교 사상의 침투를 억제하기 위해선 반드시 필요하다"고 덧붙였습니다.
지난 6월 말 신장에서는 소수민족 독립운동 세력이 관공서를 습격해 발생한 충돌로 35명이 사망하는 등 중국 정부의 억압 통치에 반발하는 크고 작은 민족 갈등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