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국제/국내
특집
기획
연재
미디어/방송
션윈예술단
참여마당
전체기사
후나이원(胡乃文 중의사) [SOH] 쇠비름죽(馬齒莧粥) 쇠비름(마치현:馬齒莧)은 들판에 나가면 어디서나 볼 수 있는 식물인데요, 중의학에서는 쇠비름을 화농(化膿)과 염증(炎症)을 가라앉히..
후나이원(胡乃文 중의사) [SOH] 오늘은 백합죽(百合粥)과 무죽(蘿葡粥)에 관해 알아보겠습니다. 백합은 우리가 정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백합꽃을 말하는데요. 백합꽃의 줄기 아랫부분의 비늘 모양의 조..
후나이원 (胡乃文 중의사) [SOH] 각종 채소죽 중국에는 ‘백성은 음식을 하늘로 본다(民以食爲天)’는 말이 있습니다. 그만큼 사람의 먹거리가 중요하다는 의미겠지요. 현대의학적인 관점에서는 몸에 필요한 ..
[SOH] 본초강목(本草綱目)을 지은 이시진은 팥죽, 녹두죽, 옥수수죽, 율무죽, 연밥죽, 검실죽(芡實粥 가시연밥죽) 등 다른 곡류로 만든 죽에 대해서도 기록했는데요, 먼저 팥죽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후나이원(胡乃文 중의사) [SOH] 찹쌀죽(糯米粥), 수수죽(秫米粥), 기장죽(黍米粥) 등 이상의 몇 가지 죽은 모두 달고 따뜻하며 무독(無毒)할 뿐만 아니라 기운을 돕습니다. 아울러 비위가 차고 ..
후나이원(胡乃文 중의사) [SOH] 중국 고대 의사는 밥 외에 죽으로 양생(養生)하고 병을 치료했습니다. 옛사람들이 어떻게 죽으로 양생하고 병을 고쳤는지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황제내경(黃帝內經)’에서..
후나이원(胡乃文 중의사) [SOH] 오반은 특수한 밥입니다. 오반은 일반 쌀에 다른 재료를 삶아 즙을 내어 밥을 지은 것입니다. 이런 밥을 ‘청정건석반(靑精乾石飯)’, ‘신반(䭀飯)’ 또는 ‘손반(飧..
후나이원(胡乃文 중의사) [SOH] 고대 선인들은 자연을 인식하고 응용하는 능력이 아주 뛰어났습니다. 이들은 거의 모든 것을 식용으로 쓸 수 있었고 또한 거의 모든 것을 치료약물로 쓸 수 있었지요. 고대의..
후나이원(胡乃文 중의사) [SOH] 고대의 선인들은 ‘약식동원(藥食同源)’이라 하여 음식과 약물은 그 기원이 같다고 보았지요. 고대의 본초학 저술은 사람이 자연을 일방적으로 파괴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과 ..
후나이원(胡乃文 중의사) [SOH] 고대 중국의 명의(名醫)는 투시능력을 갖추었습니다. 가령 편작, 화타, 손사막, 이시진 같은 사람들은 모두 뛰어난 진단 능력을 지녔다는 일화가 전해지고 있지요. 여기서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