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중국은 현재 전세계적으로 네티즌 규모가 가장 큰 국가입니다. 인터넷을
통해 진실한 정보들이 중국으로 유입되는 것을 근절하기 위해 중공 당국은 일찍부터
8억 달러를 들여 ‘진둔(金盾·Golden Shield)’이라고 불리는 첨단 감시 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
하지만 기계적인 여과 장치에 한계를 느끼기 시작한 중공 당국은 최근 몇 년간
‘인터넷 평론원’ 즉 가짜 네티즌을 동원해 여론을 통제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들은
일반 네티즌의 신분으로 당국을 위해 변론하는 집단으로 댓글 하나에 중국 돈 5마오(毛-한화
70원가량)를 받는다고 해서 우마오당(五毛黨)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홍콩대 ‘중국언론 연구프로젝트’ 반즈위안(班志遠) 연구원은 ‘원동경제평론(遠東經濟評論)’
7월호에 기고한 글에서 “중국 정부가 지지하는 우마오당이 최소 28만 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한다”며 “이들의 월수입은 2천에서 5천 위안에 달한다”고 밝혔습니다.
중공 당국이 이들을 위해 제작한 ‘인터넷 평론원 공작지침서’나, 허난(河南)성
교육청이 하달한 ‘대학생 인터넷 평론원 배양을 강화해야 한다’는 공문은 이들
우마오당의 존재를 실증하고 있으며 중공 당국이 이들을 배양하기 위해 큰 공을 들이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올해 중국에서 큰 사건이 터질 때마다 우마오당도 바쁘게 움직였습니다. ‘중국신문주간’
7월호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구이저우(貴州)성 웡안현에서 대규모 민중시위가 발생했을
당시 당국의 진압에 동조하기 위해 현지 우마오당들이 긴급 투입돼 수많은 게시물과
댓글을 올렸습니다. 올림픽 횃불 행사 과정에서도 우마오당들은 인터넷에서 민족주의
감정을 선동하여 CNN, 까르푸 불매운동 등 사건을 주도하는 등 적지 않은 역할을
한 것으로 밝혀지고 있습니다.
미국에 소재한 ‘중국정보센터’ 사이트 양리리(楊莉藜) 편집장은 우마오당이
중국 사회에 큰 해를 끼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음성)“우마오당은 중공 당국이 인터넷 봉쇄에 성공하지
못하면서 내놓은 새로운 인터넷 통제방식입니다. 가짜 정보를 만들어내 인터넷 여론을
통제하려는 것이 그들의 목적입니다. 네티즌들은 당국이 통제하고 있는 우마오당과
인터넷 평론원들을 구별해 낼 방법이 없기에 그들은 매우 큰 해를 끼치고 있습니다.
그들은 가짜 정보를 만들어 내고, 당국을 도와 자주 정부를 비판하는 활약적인 네티즌들을
감시하고 있습니다. 이미 알려진 우마오당의 활동은 빙산의 일각에 불과합니다. 많은
내막을 우리는 아직 알지 못하고 있습니다. 저는 언론이 그들에 대해 더 많은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베이징의 작가 위제(余杰)는 당국이 조직한 우마오당의 규모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음성)“신문, 라디오, TV 등 중국 전통적인 매체는 모두
당의 나팔수입니다. 제가 관찰한 바에 의하면 우마오당은 대학가에서 시작됐습니다.
대학의 학생부, 공청단 조직이 학생과 교사들을 우마오당에 참여하게 했습니다. 최근
1,2년 동안 그들은 뉴스사이트와 토론방으로 급속히 확산됐습니다. 때문에 저는 우마오당의
규모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베이징의 반체제 인사 왕광쩌(王光澤)는 당국이 우마오당을 고용하면서 인터넷
통제에 들어가는 비용이 대폭 늘어났다고 말했습니다. 그리고 대부분 인터넷 평론원들은
사실 경제적인 보수 때문에 당국을 위해 일을 하고 있다고 말합니다.
(음성)“우마오당은 인터넷이 갈수록 발달하고 네티즌이 갈수록
많아지고 있는데다 과감한 발언을 하는 사람이 갈수록 많아지고 있기 때문에 생겨났습니다.
당국이 기계적인 프로그램만 가지고는 한계가 있다고 생각한 것입니다. 그러나 이들을
고용함으로써 당국은 인터넷 통제에 들어가는 비용이 대폭 늘게 됐습니다. 이들 인터넷
평론원들은 모두 대학 교육을 받은 사람들입니다. 그들이 이 일을 하는 것은 대부분
경제적인 이유에서입니다. 그들은 그들이 종사하고 있는 일을 내심으로부터 찬성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충성심에 한계가 있습니다.”
미국의 ‘중국정보센터’ 사이트의 양리리(楊莉藜) 편집장은 앞으로 인터넷이
더 발전함에 따라 중공 당국의 정보 봉쇄 및 여론 통제 등 정책은 실패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습니다.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김경아였습니다.
對중국 단파방송 - SOH 희망지성
http://www.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