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중국 기자들이 탄광사고를 눈감아주는 대가로 업주에게서 돈을 받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 파장이 일고 있습니다.
중국 산시(山西)성은 석탄이 가장 많이 나기로 유명합니다. 이 지역에서 탄광사고가
발생하면 기자들은 즉시 광산으로 몰려갑니다. 그런데 취재가 아닌 사고 입막음 대가로
업주에게서 돈을 받기 위해서라고 합니다.
베이징청년보는 27일, ‘서부시보(西部時報)’ 기자 다이샤오쥔(戴驍軍.41)이
사고가 발생한 산시성 간허(幹河)탄광에서 위험을 무릅쓰고 이 같은 현장을 촬영한
사진을 공개했습니다.
다이샤오쥔은 지난 9월25일, 이 탄광의 광부들로부터 3일 전 한 동료가 사고로
숨졌지만 업주가 상급에 보고하지 않고 있을 뿐만 아니라 소식을 듣고 몰려온 기자들에게
돈을 주며 사고를 은폐하고 있다는 제보를 들었습니다.
이날 저녁, 탄광사무실을 찾은 다이샤오쥔은 깜짝 놀랐습니다. 복도와 사무실마다
돈을 타내기 위해 기다리는 기자들로 넘쳐났기 때문입니다. 기자들은 입구에서 등록절차를
밟고, 3층에 올라가 다시 확인을 받은 뒤 확인서를 갖고 한 사무실에서 돈을 타고
있었습니다.
▲
기자들이 돈을 받기 위해 탄광사무실 복도에서 기다리고 있다.
다이샤오쥔은 탄광사무실 2층에서 재빨리 이 현장을 촬영한 뒤, 1층 로비로 내려와
등록부에 대고 연속 셔터를 누르고 보안 인원이 영문을 알아차리기 전에 대문을 열고
뛰쳐나와 미리 시동을 켜 놓은 차를 타고 도망쳤습니다.
다이샤오쥔은 이날 탄광사무실을 찾은 기자가 최소 100여 명은 될 것 같았다고
말했지만, 현지 주민들에 따르면 탄광사고가 발생하면 4,5일은 계속 찾아오는 기자들이
있기 때문에 실제 숫자는 훨씬 더 많다고 합니다.
베이징청년보는 하지만 사진 속 등록부에 나와 있는 매체들 중에 들어보지 못한
언론사가 다수 포함돼 있어 가짜 기자들도 혼입됐을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습니다.
탄광업주들이 기자에게 건네는 돈은 매체 지명도 등에 따라 몇 천 위안에서 몇
만 위안선으로 정해집니다. 이렇게 지급되는 돈도 적지 않지만 이는 탄광사고로 인명사고가
발생한 사실이 드러났을 경우 관계 당국에 지급하는 벌금에 비하면 훨씬 적습니다.
게다가 처벌을 받을 경우 생산을 중지해야 하기 때문에 업주들은 진짜와 가짜
기자를 불문하고 돈을 주고 ‘무사히’ 넘어가길 바랍니다.
산시성은 중국에서 탄광사고가 가장 빈발하는 지역이지만 관리와 업체들의 결탁으로
상황은 악화되기만 했습니다. 지난 9월 초에는 린펀(臨汾)시에서 최악의 탄광 폐기물
산사태가 발생해 1천 명 이상이 매몰됐으며 멍쉐농(孟學農) 산시성장과 장젠민(張建民)부성장이
이례적으로 경질되기도 했습니다.
최근 잇따르는 식품, 생산, 의료 안전사고로 곤욕을 치르고 있는 중공 당국은
파장이 확산될 조짐을 보이자 산시성 현지에 조사팀을 급파해 조사에 착수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
돈을 받은 언론사 리스트가 적혀 있는 장부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정민정이었습니다.
對중국 단파방송 - SOH 희망지성
http://www.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