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월 중순, 국방과학연구소, 국방연구원, 원자력연구소 등 국가기관 PC 64대와 민간분야 PC 52대가 해킹 당했다. 이어 최근 또 다시 국가기관에 대한 해킹시도가 있어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 해킹프로그램에 노출된 PC 중에는 국회의원 다수의 PC도 들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 국회 전산망과 개별 의원들이 갖고 있는 전자 문서도 유출됐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언론이 보도한 바 있다.
경향신문(7월 23일자)은 중국이 인민해방군 소속 사이버 해커부대를 중앙군사위원회 직속으로 육-해-공군과는 별도 편제로 1997년 4월 창설하였으며, 1998년 베이징(北京), 선양(瀋陽), 난징(南京)에서 대량의 스팸메일을 일시 전송해 상대방 컴퓨터를 제어 불능 상태에 이르게 하는 바이러스 형태의 메일 폭탄을 사용한 사이버 전쟁 훈련을 한 바 있다고 보도했다.
또, 이듬해인 1999년에 자국내 파룬궁 수련자들에 대한 대대적인 탄압에 악용하고, 전 세계 파룬궁 사이트를 공격한 사례가 있는데, 이 부대는 고학력의 천재급 인력으로 구성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렇게 인권탄압에 악용한 전례가 있는 중국인민해방군 산하 사이버 해커부대가 대한민국의 정부와 민간을 상대로도 대대적인 해킹을 감행했다는 의혹으로 한동안 국내 언론과 국가정보원, 경찰청 등의 관계자들이 촉각을 곤두세웠다.
국정원과 경찰청은 13일 “이번 공격이 상당히 계획적이고 치밀하게 이뤄졌다는 점에서 개인차원이 아니라 일정 규모의 조직이 개입된 것”으로 규정, 중국 등 해외 정부와 공조수사를 실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국정원과 보안업체들은 이번 국내 주요 정부 기관에 대한 사이버 공격을 시도한 해커가 “Peep"와 "Revac" 등 공격에 사용한 백도어 프로그램의 소스코드(원본프로그램)에 중국어를 많이 포함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고, 백도어 프로그램을 담은 이메일의 경로를 추적한 결과 중국에서 최종 발송한 것을 확인했다고 발표했다.
용의자는 중국 A외국어학원 한국어 전공자이며 이 학원은 중국인민해방군 소속 외국어 학원으로, 학생의 상당수가 군인인 것으로, 7월 15일 국내 언론에 대대적인 보도가 나갔고, 해커가 현역 중국 인민해방군 군인일 가능성이 높으며, 나아가 한국 국가기관을 상대로 한 이번 해킹사건에 중국군이....
개입했을 수도 있다는 의혹이 일어 파문이 일파만파로 번졌다.
외교부는 14일 리빈(李濱) 주한 중국대사를 불러 중국인 해커 검거를 위한 양국 수사당국간 공조에 중국측이 적극적으로 협조해 줄 것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리 대사는 “본국 정부에 보고해 진상이 규명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답했다.
문제의 해커가 중국인민해방군 소속 군인일 가능성이 짙어되면서 사건 수사가 정치, 외교문제로 확대될 조짐이 보이자, 수사에 급제동이 걸렸고, 급기야 7월 16일 국가정보원은 이번 중국인민해방군 해커 사건은 아직 수사중이고 국민의 불안감 조성, 외교적인 문제로 비화될 가능성을 우려해 국내 언론 보도 자제를 요청하였다.
그러나 중국대사관측은 27일 해킹사건은 사실무근이라고 밝혔으나, 국정원은 이 사건 조사에 대해 이렇다 할 공식 발표를 하지 않은 상태이다.
오병주 기자
2004년 07월 31일
기사전재 - 2005년 3월
對중국 단파방송 - SOH 희망지성
http://www.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