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3일과 5일 각각 개막하는 전국 정치협상회의와 전국 인민대표대회(양회)의 ‘질서유지’를 위해 중공 당국이 공안과 무장경찰을 포함해 무려 50만 명이 넘는 인원을 동원한 것으로 알려져 충격을 주고 있다.
이들의 주요임무는 인민대회당과 천안문광장 주변에서 3중 경계 체계를 가동해 지방에서 억울한 사연이 있거나 해결하지 못한 사안을 갖고 상경하는 탄원 민중을 가로 막는 것.
중공 당국에 미련을 갖고 있는 일부 중국인들은 ‘인민이 나라의 주인’이라는 구호 아래 유지되고 있는 양회(兩會)에 희망을 품고 해마다 이 때면 각지에서 베이징으로 대거 몰려든다.
그러나 그들이 모여 사는 허름한 상방촌(上訪村)은 2월 말부터 이미 몇 차례 수색을 당했으며 대부분 고향으로 쫓겨 가거나 구치소에 감금되는 고통을 겪어야 했다.
이처럼 민생을 주요 화두로 한다는 이번 양회도 조금만 더 들여다보면 중공의 허위적인 일면이 그대로 드러난다.
베이징에 있는 민주인사, 인권운동가 등 정치적으로 ‘위험’하다고 생각되는 인물들을 잠시 가택연금 조치를 취해 외출하지 못하게 하거나 베이징을 떠나게 하는 것도 중공이 동원한 보안 인원들의 임무이다.
중공이 눈에 가시처럼 여기는 인권변호사 가오즈성(高智晟)을 성원했다는 이유로 수개월 째 가택연금 되었던 민주인사 후자(胡佳)도 이번 양회 개막과 맞물려 홍콩 비자를 신청했던 관계로 의외로 쉽게 당국의 허락을 얻었다.
‘조화사회(和協社會)’를 표방하고 있는 중공, 그러나 이번 양회의 50만에 달하는 보안 인원이 설명하듯이 그것은 정치구호에 불과하며 오히려 극심한 빈부격차 등으로 극도로 조화롭지 못한 중국사회 현주소를 반영해 줄 뿐이다.
對중국 단파방송 - SOH 희망지성
http://www.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