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리빈(李濱·51) 전 주한 중국대사가 중국과 북한의 정보를 한국과 미국
정부, 한국과 일본언론에 누설한 혐의로 중국 공안 당국의 조사를 받고 있다고 <워싱턴포스트>가
보도했습니다.
작년 6월부터 산둥성 웨이하이(威海) 부서기 겸 부시장이 된 리빈은 그해 12월
갑자기 베이징으로 소환돼 공안 당국의 조사를 받기 시작했으나 조사 이유가 구체적으로
밝혀진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리빈은 올해 2월 중공국가안전부와 외교부에 의해 혐의자에 대해 규정된 시간,
규정된 장소에서 조사를 받는 ‘쌍규(雙規)’ 처분을 받았습니다.
<워싱턴포스트>는 지난 13일 보도에서 “리빈 전 대사가 국가기밀을 누설한
사건은 1994년 전 중공 장성 류렌쿤과 샤오정중이 대만 군부에 정보를 제공한 사건
이후 중국 정부가 가장 주목하는 사건”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 신문은 리빈이 작년 1월 김정일의 후베이 및 광둥성 산업도시 시찰계획을 일본과
국내 언론에 누설하고, 한국과 미국 정부에 김정일 및 북-중 관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 이중스파이 역할을 한 혐의를 받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중공 당국은 지금까지 조사를 통해 리빈 전 대사가 2001년 9월부터 2005년 8월까지
한국 정부에게 북-중 관계 변화에 관한 정보를 정기적으로 제공했으며, 추가로 ‘6자회담’
및 북핵문제 등 관련 정보를 제공한 사실을 밝혀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미국에도 전달된 이 정보들이 한국을 통해 전달됐는지, 아니면 리빈이 직접 전달했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리빈은 일찍이 북한에 유학해 김일성대학을 졸업하고 1977년부터 북한주재 중국대사관에서
직무를 맡았습니다. 그는 1991년 중공외교부 아시아 담당이 됐고 1994년에는 주한
중국대사관 참사관, 1997년에는 다시 북한에 돌아가 공사직급 참사관직을 맡았습니다.
2001년 주한 중국대사로 임명됐고 2005년 8월에는 북한 핵문제 특사를 맡기도 했습니다.
대만 중앙라디오방송국은 리빈이 한국어가 유창하고 사교능력이 뛰어나 김정일과
사적인 교제를 하고 있었다며, 2001년 3월 김정일이 당시 공사직을 맡고 있던 리빈을
방문해 포도주를 즐기며 무려 5시간에 달하는 담화를 나눴다고 보도했습니다. 이
방송은 천성적으로 말하기 좋아하는 리빈의 성격이 화를 자초한 것이 아니냐는 분석을
내놓았습니다.
SOH희망의소리 국제방송 권숙희이었습니다.
對중국 단파방송 - SOH 희망지성
http://www.soundofhope.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