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양젠리(楊建利ㆍ중국 반체제 인사, 하버드대학 교수)
[SOH] 중국 국가주석 후진타오는 G-20 정상회의에 참석차 11월 14일 미국에 도착했다.
버락 오바마가 당선된 직후 미국에 도착한 후진타오는 민주주의 절차를 통해 에너지가 충만된 이 나라에 서게 됐다. 흑인 대통령을 선출했다는 사실에 도취해 있는 미국은, 비록 지금 휘청거리기는 하지만 저력있는 경제 엔진과 대단한 기술만이 미국 원동력의 전부가 아님을 강조하고 있었다.
그 원동력이 비록 완벽하지는 않을지라도 정의, 자유 및 평등의 헌법에 규정된 비전은 미국을 스스로 갱신시키고 차별과 분열을 이겨내게 만들었다. 후진타오 앞에 드러난 미국은 그를 생각에 잠기게 했을 것이다.
최근 두 가지 사건이 미국을 방문한 후진타오의 행로에 그림자를 드리웠다. 이 두 가지 사건은 또 중국 정부가 국제사회에 가져올 불안성을 내재하고 있었다.
첫번째 사건은 유럽에서 일어났다. 투옥된 중국 반체제인사 후자(胡佳)가 2008년 10월 23일 유럽 의회로부터 사하로프상을 수상한 것이다. 에이즈 문제, 환경문제 그리고 1989년 천안문 민주화운동을 알리는데 집중했던 후자는 결국 체포됐으며, 유럽 의회에서 비디오를 통해 중국 인권상황을 증언한 이후 중공 당국에 의해 국가전복죄 판결을 받았다.
한스-게르트 푀터링 유럽의회 의장은, “사하로프상은 유럽의회가 모든 중국 인권 옹호자들의 자유를 향한 투쟁을 확실하고 단호하게 알고 있다는 사실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중국 정부는 후자가 범죄자라고 주장하면서 유럽연합의 결정이 중국에 대한 내정간섭이라며 분노했다.
후자에게 수여된 사하로프상은 구소련시절 반체제 인사인 ‘안드레이 사하로프’의 이름을 따서 만들어진 상이다. 저명한 소련 물리학자 사하로프 박사는 소련의 붕괴를 예견한 당대의 몇 안되는 인물이다. 그는 일당 독재체제에 내재하는 문제점을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국제사회는 자국민들에게 의지하지 않는 정부를 의지할 수 없다.”
후진타오를 따라다니는 또 다른 그림자는 2008년 11월 7일 하버드 대학에서 일어났다. “차이를 존중하라, 보편적 가치를 받아들여라, 민주적인 미래를 위해 연합하라”는 구호 아래 중국인을 포함한 다양한 소수민족과 종교 단체에서 온 60여 명의 대표자들이 3일간 회의를 열었다.
티베트인들, 위구르인들, 몽골인들, 가정교회 신도들, 파룬궁 수련자들은 서로 소통하며 서로에게 다가갔고 중국 정부에게 받은 억압의 짐을 나눴다. 회의 마지막에 참가자들은 자유와 민주화라는 공동 목표를 위한 선언에 만장일치로 찬성표를 던졌다.
이 결론은 즉시 달라이라마의 최근 성명에 반영돼, “중국 정부가 한족 또는 위구르족들에게 자유를 주지 않으면서 동시에 티베트인들에게는 자유를 준다는 것은 단지 낙관적인 생각일 뿐”이라고 표현됐다.
“중국 정부가 가정교회 신도들에게는 자유를 주지 않으면서 파룬궁 수련자들에게만 자유를 준다는 것 또한 불가능하다. 대만, 홍콩, 마카오에 드리운 독재 위협은 대륙 중국인들에 의한 지속적인 자유 투쟁과 노력을 통해서만 감소될 수 있다. 그러므로 자유를 향한 우리의 노력은 전체적인 것이지 개별적으로 진행될 수 없다.”
이 선언의 역사적 의미가 저평가될 수는 없다. 중국 역사상 자유, 인권, 법치의 공동 목표를 위해 그렇게 많은 단체가 연합한 전례가 없었다. 이 공동 선언은 ‘중국을 위한 구상’ 웹사이트 (initiativesforchina.org)에 전문이 게재되어 있다.
이 두 사건은 중국에서 불가피한 변화의 바람을 일으킬 것이다. 하나는 자국민을 통치하는 것처럼 다른 국가와의 관계를 부정적으로 접근하는 중국 공산당의 강압적이고 분열적인 특성을 폭로할 것이고, 다른 하나는 기존의 많은 독재자들의 사례처럼 중국 정부가 자국민들에게 영원히 총을 겨눌 수는 없다는 신호를 보내는 것이다.
나는 유럽의회의 용기와 하버드 회의에 참석했던 애국자들에게 경의를 표한다. “후진타오 씨, 미래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 양젠리 박사: 1989년 천안문 사건의 생존자이자 중국의 양심수였으며, 캘리포니아 대학 버클리 분교에서 수학 박사학위를 받고 하버드에서 정치경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는 현재 하버드 대학 교수이자 보스톤에 기반을 둔, 평화적인 중국 민주화를 주장하는 단체인 ‘중국을 위한 구상’의 의장이다. 추가 정보는 www.initiativesforchina.org를 참조할 것.
對중국 단파방송 - SOH 희망지성
http://www.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