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후진타오 정권의 세대교체를 앞두고 중공 내부에서는 ‘부패척결’을 명목으로 대폭 물갈이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신화사 산하의 격주간지 ‘반월담(半月談)’ 최신호는 이번 인사 폭풍으로 드러난 관리들의 부패 문제를 재조명해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최근 낙마한 부패 관리들의 대표는 당연히 중국의 최대 갑부인 황광위(黃光裕) 전 궈메이(國美)그룹 회장의 뇌물사건에 연루된 광둥성 관리들과 공안부 관리들입니다.
이 사건으로 중국에서는 최근까지 50명 이상의 성(省)급 이상 중공 관리들이 무더기로 조사를 받거나 낙마했습니다.
‘반월담’은 현재 구속되어 조사를 받고 있는 선전(深圳)시 당서기 겸 시장인 쉬쭝헝(許宗衡), 공안부 부장조리 정사오둥(鄭少東), 전국인대 경제위원회 주임 주즈강(朱志剛), 저장성 기율위원회 당서기 왕화위안(王華元), 광둥성 정협주석 천사오지(陳少基) 등 전직 관리들을 거론하면서 그들의 공통된 부패행위를 비판했습니다.
즉, 법망을 교묘하게 피해가면서 권모술수를 쓰고 파벌을 조성하며 관직을 팔아 거액의 이윤을 챙겼다는 것입니다.
중국에서는 관리들이 승진하려면 공산당 조직과, 기율검사위원회, 검찰기관의 엄격한 심사를 받아야 한다는 규정이 있지만 모두 형식에 불과합니다.
‘반월담’도 최근 낙마한 관리들의 사례를 보면 이 3개의 ‘방화벽’을 모두 뛰어넘은 사람들이 많다면서 “부패 행위를 통해 승진하고, 승진한 후 다시 부패 행위를 하는 것은 이미 정치계에서 관리들이 살아가는 방식이 되었다”고 지적했습니다.
전형적인 사례로 거론된 허민쉬(何閩旭) 전 안후이성 부성장은 15년 동안 841만 여 위안에 달하는 뇌물을 수수했지만 지난 2006년까지 승승장구했습니다.
다른 한 사례로, 산시(陝西)성 바오지(寶鷄)시 정부 비서실장에서부터 부시장, 시장, 당서기를 거쳐, 시 인대상무위원회 주임, 성 정협 부서기직을 역임한 팡자위(龐家鈺)는 그 동안 뇌물수수 행위로 수차례 적발됐지만 관운은 여전히 순탄했습니다.
중공 관리들은 부패행위가 적발돼도 처벌받지 않는 것은 물론 오히려 제보한 사람들이 보복을 당하는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전국적으로 이러한 사례가 해마다 수천 건에 이릅니다.
그러나 ‘반월담’에 따르면, 부패 관리를 처벌하는 중요한 단서의 70%가 제보자들로부터 올 정도로 관리들의 부패행위를 적발하는 노력은 중요합니다.
팡자위 역시 갖은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9년 동안 조사를 지속했던 바오지시 전 사법국 간부 차오창정(曹長征)이 있었기 때문에 법적 처벌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이명희, 김경아였습니다.
[ 對중국 단파라디오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