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중국 전역에서 집단시위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중공 당국이 지방 관리들에 대한 대처요령 교육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중공은 지난해 11월, 전국 각 현(縣. 한국의 군에 해당) 당서기 2천 명을 처음 베이징에 불러 1주일간 시위대처 요령을 전수한데 이어, 올 상반기에는 7차례에 걸쳐 전국 각 현 공안국장 3천 명을 상대로 관련 교육을 실시했습니다.
특히 지난 6월부터는 범위를 확대해, 촌(村. 한국의 면에 해당) 당서기, 공안, 검찰, 법조계와 변호사 사무실 당 서기까지 전부 교육 대상에 포함시키면서 불과 몇 개월 사이에 이미 100만 명 이상의 관리들이 교육을 받았습니다.
또 ‘남방도시보’ 8월 1일 보도에 따르면, 베이징에 있는 국가행정대학은 현재 이 같은 교육을 강화하고 체계화하기 위해 대형 교육기지 건설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신문은 국가행정대학 왕위카이(汪玉凱) 교수의 말을 인용해, 정부가 이미 작년부터 기지 건설을 계획하고 있었으며, 기지가 완공되면 지방 관리들이 사회 돌발사건을 대처하는 능력을 제고하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중공 당국이 이처럼 지방 관리들에 대한 교육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것은 전국 전역에서 집단시위가 폭증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2005년에 발표된 중국사회 블루북에 의하면, 집단 시위 건수가 1993년의 1만 건에서 6만 건으로 늘었으며, 시위에 참가한 사람도 73만 명에서 307만 명으로 확대됐습니다.
2007년에 이르러서는 시위 건수가 한 해 8만 건을 훌쩍 넘어섰고 중공 당국도 더 이상 통계 수치를 발표하지 않았습니다.
2008년 3월에 발생한 티베트 유혈사태나 지난 7월 초 발생한 우루무치 유혈충돌도 중국 각지에서 폭발하고 있는 집단시위와 유혈탄압의 대표적인 사례일 뿐입니다.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허종원, 최창영이었습니다.
[ 對중국 단파라디오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