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올 한해 중국에서 해외로 도피한 고위관리의 숫자가 354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미국에 서버를 둔 중문 뉴스사이트 보쉰(博訊)은 국가민항총국 베이징 보안국 소식통을 인용해 올해 중국 베이징(北京)의 서우두(首都) 국제공항을 통해 당정 중앙부처 과장급 이상 관리 354명이 3,000여억위안(51조6,000억원)의 횡령금을 챙겨 가족 또는 정부(情婦)와 함께 해외로 달아났다고 17일 보도했습니다.
보쉰에 따르면 이 같은 해외 도피자 수는 연간 통계 중 최대이며 이들이 유출한 횡령금도 1인당 평균 9억위안(1,500억원)으로 최대라고 설명했습니다.
이들이 선호한 해외 도피처는 주로 미국이나 캐나다로 주로 중국공산당 제18차 전국대표대회 개최 직전 집중 출국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같은 보도를 두고 지난 8월 베이징 서우두 공항을 이륙해 뉴욕으로 향하던 중국국제항공 소속 항공기가 8시간 만에 회항한 사건이 거액을 횡령한 고위 관리의 도피를 막기 위한 비상조치가 아니었냐는 주장이 나돌기도 했습니다.
미국 워싱턴의 국제정책 연구기관인 글로벌파이낸셜인테그리티(GFI)에 따르면 2000~2011년 중국에서 해외로 불법 유출된 3조8,000억달러(4,100조원)의 자금 중 1,900억달러(205조원)는 불법 유출된 자금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중국 인민은행도 지난해 6월 보고서에서 1990년대 중반부터 1만6,000~1만8,000명에 달하는 중국 부패 관료들이 해외로 도피했으며 그들이 유출한 자금은 무려 8,000억위안(138조원)으로 1인당 평균 9억위안(1500억원)을 챙긴 것으로 집계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올해 해외도피 관리가 집중된 이유는 당 대회를 계기로 들어설 새 정부가 부정부패 척결을 강조하면서 정책 실시 과정에서 희생될 것을 우려해 이 같은 방법을 취한 것으로 풀이하고 있습니다.
지난 11월 시진핑(習近平) 총서기 취임 후 당국의 부정부패 척결 정책 실시로 리춘청(李春城) 쓰촨(四川)성 부서기 등 최소 10명 이상의 고위급 관리가 부패 등의 혐의로 낙마한 바 있습니다.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