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중·일 영유권 분쟁이 치열한 센카쿠(尖閣)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ㆍ釣魚島) 주변 동중국해에서 10일 중국 전투기가 미군기를 추적하는 일촉즉발의 사태가 발생해 중일 간 마찰이 미국으로까지 확대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산케이(産經)신문은 “지난 10일 일본이 설정한 중일 중간선 부근을 지나던 미 해군 P-3C 잠수함 초계기와 미 공군 C-130 수송기에 대해 중국군이 동중국해 상공에 전투기를 긴급 발진해 뒤쫓았다”고 14일 보도했습니다.
신문은 이날 출격한 중국 측 전투기를 젠(殲)-10과 젠-7로 추정하면서 "중국 전투기가 당시 미 해군 전자정찰기 EP-3를 뒤쫓았다는 정보도 있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9월 일본이 센카쿠 일대 3개 섬을 국유화한 이후 군용기 윈(運)-8을 부근에 보내 정보를 수집해 온 중국은 시진핑(習近平) 중국 공산당 총서기 집권 후에는 정찰비행과 전투기 발진 등 대응 수위를 더욱 높이고 있으며, 특히 9일 일본 정부가 중국 군용기 등의 센카쿠 접근에 대한 대책으로 경고 사격 등 대응조치 강화를 검토중이라는 보도가 나온 이후 더욱 강경한 노선을 펼치고 있습니다.
일본의 한 정부 고위관계자는 2001년 남중국해 상공에서 미 해군 EP-3 전자정찰기가 중국 전투기와 충돌한 사건으로 미중 관계가 악화한 사례를 언급하면서 미일 양국과 중국간 동중국해 공방이 중일 양국에서 미중일 3국 문제로 확산되는 새로운 단계에 진입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일본은 중국의 남중국해 군사력을 확장에 대비해 일본, 하와이, 호주, 인도를 잇는 '안보 다이아몬드' 구축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주장하는 안보 다이아몬드는 남중국해에서의 중국 영향력 억제를 위해 4개국이 이 일대를 포위한다는 개념으로 일본 정부는 이를 위해 호주와의 관계 재정립에도 나서고 있습니다.
13일 외무장관 회담 차 호주를 방문한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외무장관은 자위대와 호주군 간 식량, 연료의 융통에 관한 상호군수지원협정(ACSA)을 통해 양국간 군사협력을 강화하고 이 과정에서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행사에 대한 호주 측의 양해도 구할 계획입니다.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