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한반도 평화를 위협하며 연일 무력 도발을 위협하고 있는 북한이 지난달 중국에 특사파견을 요청했지만 중국이 이를 거절했던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베이징을 비롯한 현지 언론들은 북한관련 소식통을 인용해 “북한이 지난달 중국 정부에 대해 부부장급 이상 고위급 특사파견을 요청했으나 중국 측은 특사를 원한다면 북한에서 파견해야 한다는 답변과 함께 북한의 요청을 거절했다”고 2일 보도했습니다.
외교 전문가들은 중국의 이 같은 태도에 대해 “국제사회의 경고에도 3차 핵실험을 강행하고 한반도 위기 상황을 고조시키고 있는 북한에 대한 경고로 풀이하고 있으며, 또 북한이 현재 아직 특사를 파견하지 않는 것은 중국으로부터 무력시위 중단과 6자회담 복귀 등을 강요받을 것을 우려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중국과 북한은 1949년 중국 공산정권 수립 이후 매월 당과 정부, 군의 부부장급 이상 간부가 각각 한두 차례 교환방문을 하는 교류를 해왔지만 지난해 11월 29일 리젠궈(李建國) 공산당 정치국원 겸 전인대(全人大·국회 격) 상무위 부위원장이 18차 당대회 설명차 북한을 방문한 이후 4개월 이상 양국 고위급 교류가 중단된 상태입니다.
소식통에 따르면 중국은 2월 초 우다웨이(武大偉) 한반도 사무특별대표를 북한에 파견해 핵실험을 만류하려 했으나 북한은 이를 거부했고 2월 12일 핵실험 이후에도 사태악화를 막기 위해 부장(장관)급 고위간부를 다시 북한에 파견하려 했지만 북한은 또 다시 이를 거절했습니다.
중국은 지난달에도 북한의 추가 무력 도발을 달래기 위해 리자오싱(李肇星) 전 외교부장을 파견하려 했지만 역시 북한의 거부로 무산된 바 있습니다.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