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중국이 최근 수년간 경제적 원조를 해온 네팔에 대해 티베트인들의 망명을 막도록 요구하고 있어 국제사회의 비난을 받고 있습니다.
인터내셔널헤럴드트리뷴(IHT)은 15일 네팔이 중국 남서부 티베트지역과 국경을 맞댄 자국의 북부 무스탕지역 국경수비를 강화하면서 지난해 1~8월 히말라야 산맥을 통해 네팔로 망명한 티베트 난민이 2011년 같은 기간의 절반 수준인 400여명으로 집계됐다고 보도했습니다.
이들 티베트 망명인들은 그들의 정신적 지도자 달라이 라마가 있는 인도 북부 다람살라의 티베트 망명정부로 가기 위해 경유지인 네팔에 들어와 머물고 있으며 네팔 정부는 수도 카트만두의 난민촌 등에서 생활하는 2만여명의 티베트 난민에 대한 감시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IHT는 "1959년 달라이 라마가 인도로 망명한 후 2000년대 초까지만 해도 네팔로 진출한 티베트인들은 네팔 정부로부터 정치난민 증명서를 발급 받아 직장생활까지 했지만 2008년부터 최근까지는 미국 등에 망명을 신청한 5,000명의 티베트 난민들이 망명허가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네팔 정부의 방해로 떠나지 못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IHT는 네팔 정부가 티베트인들에 대해 이 같이 태도를 바꾼 것은 중국으로부터 경제 원조를 받았기 때문이라면서, 2006년 내전을 종식한 후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 중 하나였던 네팔에 대해 원자바오(溫家寶) 전 중국 총리는 지난해 네팔을 방문해 3년간 1억 1,900만달러의 원조에 합의하면서 네팔은 중국의 최대 원조국이자 무역국이 됐다고 지적했습니다.
이 같은 중국의 원조로 네팔은 내전 종식 후 중국과 급속히 가까워졌고 중국의 요구를 수용해 2008년부터 티베트 난민들의 독립활동을 단속한 이래 최근에는 부동산 소유, 여행, 운전 등의 기본권마저 제한을 가하고 있습니다.
또 중국이 네팔에 티베트 난민들의 탄압을 요구한 2008년부터 현재까지 티베트에서는 110건에 달하는 티베트 독립을 요구하는 분신자살이 발생했습니다.
미국 워싱턴의 인권단체 '티베트를 위한 국제캠페인'은 "현재 네팔 국경수비대 교육도 중국이 맡고 있다"며 "네팔은 중국과 국경을 맞댄 14개국 중 하나지만 현재와 같은 상황이 지속된다면 차라리 네팔을 정식 국가에서 제외하는 것이 나을 것 같다"고 지적했습니다.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