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시진핑 중국 주석이 주력하고 있는 ‘원맨 체제(권력을 한 곳에 집중시킴)’는 후진타오 전 주석과 관계가 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 모닝포스트가 11일 소식통을 인용해 전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2010년 중앙 군사위원회 부주석으로 취임한 시 주석은 당시 최고 지도자였던 후 주석이 장쩌민 전 주석의 꼭두각시가 되는 것을 목격하고 최고 지도자가 된 직후 권력 집중에 주력했습니다.
당시의 상황에 대해 한 군관련 소식통은 “쉬차이허우, 궈보슝 등 군 고위층이 모두 장 전 주석의 심복으로 그들이 후 전 주석을 고립시켰다”고 말했습니다. 또 군 최고 학술기관인 군사과학원의 한 소식통은 “장 전 주석은 이들을 통해 군에 영향력을 행사했다”고 말했습니다.
후 전 주석이 2004년 장 전 주석으로부터 군통치권을 넘겨받았지만, 군의 실권을 장악하지 못한 것은 공공연한 비밀이었습니다. 쉬차이허우는 관직 매매로 자신의 주머니를 채웠는데, 그에 관해 “후 주석의 승인을 얻지 않았다”고 전했습니다.
미국 정부도 중국군의 이변을 눈치채고 있었습니다. 2011년 미 로버트 게이츠 국방장관 방중시 중국군은 제5세대 스텔스 전투기 J-20의 첫 시험 비행을 실시했습니다. 회담에서 게이츠 국방장관이 이에 대해 언급하자 후 전 주석은 매우 놀라워 하며 그 자리에서 측근에게 설명을 요구했습니다.
군사 과학원의 양춘창(杨春长) 소장(少将)도 최근 홍콩 언론에 "쉬차이허우와 궈보슝의 권력이 너무 커, 당시 군 최고 지도자(후진타오 전 주석)는 유명무실했다”고 공개석상에서 언급했습니다.
2002년부터 12년까지 후 전 주석은 중국 최고 지도자로 재임했지만 처음 2년간은 장 전 주석에게 그 후 8년간은 쉬차이허우와 궈보슝에게 실권을 빼앗기고 있었습니다. 후 전 주석의 '잃어버린 10년'을 지켜 본 시 주석은 결코 그 전철을 밟지 않겠다고 결의한 것 같습니다.
오랜 세월을 참아온 후 전 주석은 국가주석에서 퇴임한 후, 군 최고자리에 머무는 관례를 깨고 군 최고자리도 시 주석에게 내줬습니다.
시 주석은 주석 취임 후, 당, 정부, 군 지도권을 모두 손에 넣은 후 ‘중앙전면심화개혁영도소조(개혁을 전면 심화하기 위한 중앙지도팀)’ 등 5개 조직을 출범시켰습니다. 특히 그 중 ‘중앙 국가 안전위원회’는 장 전 주석조차도 장악할 수 없었던 군, 안전부, 공안부, 외교부를 총괄하는 조직으로 시 주석이 위원장을 맡고 있습니다.
이후 명실상부 실권을 잡은 시 주석은 “호랑이도 파리도 모두 잡는다”라고 선언하고 반부패 운동을 추진해 2년간 약 3만명의 부패 간부를 처벌했습니다. 군에서도 쉬차이허우가 지난해 6월 뇌물수수 등의 혐의로 기소됐고, 현재 궈보슝도 실각설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