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 리포트] 인기 더하는 中애창곡 ‘칭짱고원’ 티베트의 대중화권 순응 메시지
[서울신문 2006-06-21 08:42]
[서울신문]“나는 보았네. 첩첩이 이어지는 산, 첩첩이 겹쳐진 산천을….”
‘칭짱 고원(靑藏 高原)’이란 노래의 일부다. 나온 지 여러 해지만 인기가 날로 더해간다. 중국 각급 기관의 간부급 인사들이 노래를 부르는 자리에서라면 어김없이 신청되는 곡이다.“웅혼(雄渾)하고, 큰 기상이 넘치며 (중화)민족의 특색을 잘 드러냈다.”는 칭찬이 따라 붙는다.
이 노래는 음역이 엄청나게 넓다. 아무나 소화해내기 어렵다.“가수 지망생들의 성량과 음역을 테스트할 때 쓰인다.”는 정도다. 누군가 이 노래를 선택했다면, 자신도 ‘중국 전통식 발성법’이 가능하다는 걸 자랑하고 있는 것쯤으로 받아들여도 무방하다.
하지만 무엇보다 이 노래가 사랑을 받고 있는 이유는 칭짱고원이 가진 ‘상징성’과, 노랫말의 ‘함축성’ 때문이다.
칭짱고원은 시짱(西藏)고원이라고도 한다. 창장(長江)과 황허(黃河)의 발원지이다. 평균 해발고도 4500m로 ‘세계의 지붕’으로도 불린다. 북으로 쿤룬(崑崙)산맥, 남으로 히말라야산맥과 잇닿으며 대부분 시짱자치구, 즉 티베트 지역에 펼쳐진다.
때문에 칭짱고원의 이미지는 ‘티베트’가 연상시키는 많은 것과 겹쳐진다.‘소수민족’ ‘달라이라마’ ‘분리운동’ ‘탄압’과 ‘인권’ 등이 그것이다. 중국이 극도로 꺼려하는 이 상당수 단어 가운데 ‘분리 움직임’은 티베트가 갖는 핵심 이미지라 할 수 있다.
사실 노랫말은 이 모든 걸 비유로 담고 있다.“첩첩이 이어진 산천, 누가 가져다 준 태초의 외침인가. 누가 남긴 천년의 기원인가.” 산 위에 산, 물 뒤에 물을 들어 분리 움직임을 작은 몸부림으로 치부했다. 대자연에, 큰 흐름에 순응하라는 메시지를 던지고 있는 셈이다.
오는 7월1일이면 이 곳에 기차가 들어간다. 세계 철도 사상 제일 높은 곳에 부설된 칭짱 철도는 ‘하늘의 길’로도 불린다. 티베트에 연결되는 첫 철도라는 의미가 심대하다. 달라이 라마나 인권단체들은 티베트에 더 많은 압력이 더해질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그러나 이 목소리는 노랫말처럼 ‘태초의 외침’에 묻히고 말 것이다. 그리고 철마는 달릴 것이다. 동서(東西)의 많은 것들을 실어나르며 중국 정부의 기대대로 중국을 더욱 융화시켜 나갈 것이다.
노래의 웅장함은 이 ‘거대한 화합’을 앞서 찬미한 것이다.
중국의 지식인들이 감탄해 마지않는 노랫말과 곡은, 군인 출신 장천일(張千一)의 작품이다.
60년생으로 조선족이다.
jj@seoul.co.kr
- Copyrights ⓒ서울신문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