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독일월드컵의 예상 시청자수가 전세계적으로 500억명으로 추산되고 있다. 세계 인구가 60억여명임을 감안하면 말이 500억명이지 정말 어마어마한 숫자가 아닐 수 없다. 유럽 아시아 남미 오세아니아 아프리카 등 전 세계가 월드컵이 열리는 4년마다 축구의 광풍에 휩싸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미 축구는 만국 공통어로 확고히 자리를 잡았다. 올림픽 금메달리스트는 몰라도 데이비드 베컴이나 지네딘 지단을 모르는 사람들은 없을 정도다.
그런데 이 대세에 ‘역행’하며 독자적인 스포츠의 세계를 구축해 온 나라가 있으니 바로 미국이다. 전세계가 축구에 열광할 때 유독 미국만은 축구를 ‘무시’한 채 그들만의 스포츠인 야구, 미식축구, 농구 등에 더 열중해왔다. 왜 그랬을까. 왜 미국인들은 축구를 싫어했을까. 저렇게 수많은 사람들이 열광하는 스포츠에 왜 유독 미국 사람들만 무관심할까.
사실 초창기엔 미국에서도 이민자들을 중심으로 축구 인기가 꽤 높았다. 그러나 독립전쟁이후 영국에 대한 감정이 좋지 않을 때 영국에서 만들고 보급시킨 축구에 대한 막연한 거부감은 미국 축구 발전에 큰 걸림돌이 됐다. 대신 미국인들은 자기네들이 직접 ‘발명’한 야구에 더 열광했다. 야구와 함께 럭비를 변형시킨 미식축구와 농구 또한 높은 인기를 끌었는데 이들 종목들의 특징은 모두 전형적인 미국 스포츠라는 점이다. 미국인들이 직접 고안하고 변형시켜 ‘탄생시킨’ 미국 스포츠인 것이다.
1900년대 초반은 현대스포츠가 기반을 닦는 중요한 시기인데 이처럼 다른 종목들이 먼저 확고하게 자리를 잡은 것도 축구가 미국에서 발달하지 못한 큰 원인중의 하나다. 이유는 간단하다. 돈있는 사람들이 벌써 다른 스포츠에 투자를 많이 하다보니 잠재력은 있지만 당장 인기스포츠가 아닌 축구에까지 쓸 여력이 없기 때문이다.
또 세계 제일이라는 자존심과 자부심으로 가득찬 미국인들은 자국의 스포츠기구가 다른 국제 상위 기관(국제축구연맹)에 의해 움직인다는 것도 축구를 영 내켜 하지 않은 이유중의 하나이다. 즉, 유럽인들을 중심으로 세워진 FIFA에 의해 자국리그가 간섭받고 또 FIFA 스케줄에 따라 움직여야 한다는 사실이 미국인들로 하여금 축구를 더욱 멀어지게 했다.
또 당시 미국은 나라 자체가 클 뿐더러 경제 규모도 유럽 전체와 맞먹을 정도로 커질대로 커져서 다른 나라와 교류하지 않아도 자급자족이 충분한 상황이었다. 스포츠도 마찬가지였다. 시장이 커서 국내리그만으로도 충분한 수익이 나 자생이 가능하다 보니 구태여 인터내셔널 매치 등 국제 스포츠 이벤트에 별다른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다른 나라들이 국가간에 벌어지는 축구 경기를 통해, 월드컵 등 세계적인 축구대회를 통해 축구의 묘미에 한껏 빠져드는 사이 미국인들은 국내에서 펼쳐지는 다양한 스포츠에 더 많은 관심을 쏟았다.
TV와의 불화다. 미국의 상업 TV들은 광고 집어넣을 때가 하프타임 딱 한번뿐인 축구를 좋아할 리 만무했다. 게다가 미식축구나 농구처럼 TV를 위해 룰을 바꿔주는 것도 아니고….특히 TV 중계권료가 스포츠리그 수입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것을 감안할 때 TV 유치에 실패한 미국축구는 도약할 수 있는 기회 자체가 없었던 것이다.
한가지 긍정적인 것은 최근 들어 유소년을 중심으로 미국에 축구붐이 일고 있다는 점. 특히 여자축구의 비약적인 발전은 미국축구 부흥의 큰 밑거름이 돼왔다.
그러나 여전히 축구는 미국 스포츠의 주류에 끼지 못한 채 변방에 머물고 있다. 오랫동안 다른 스포츠에 길들여진 미국인들의 입맛을 축구란 새로운 종목에 맞추기란 쉽지 않은 것이다. 야구, 농구, 미식축구 등에 길들여진 대다수의 미국인들은 아직도 축구에 대해 “득점이 많지 않다” “지나치게 수비 위주다” “무승부가 너무 많다(전체 경기의 3분의 1이 무승부)” “중간에 휴식 시간이 너무 없다”는 등 불평을 쏟아 붓는다. 이 모든 것이 그동안 100여년 이상 미국식 스포츠, 미국식 스포츠 패턴에 익숙해져 유럽식으로 발달된 축구란 스포츠에 대해 낯설어 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