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단교 일보직전까지 갔다
정부, 박정희 저격사건 관련 외교문서 공개
`단교카드'로 日굴복 시도…美 파국우려 제동
1974년 8월 15일 광복절 기념식장에서 발생한 박정희 대통령 저격사건으로 한국과 일본간 외교관계가 수교 10년만에 단절되기 일보 직전까지 치달았던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일본측의 사건 공동정범에 대한 수사 부진과 조총련에 대한 허술한 단속문제가 첨예한 갈등요인으로 부각했기 때문으로, 한국 정부는 일본측의 적극적인 수사 협조를 위해 미국에까지 협조를 요청했던 것으로 20일 공개된 박정희 대통령 저격사건 관련 외교문서에서 드러났다.
노신영 당시 외무차관은 사건 발생 하루 뒤인 74년 8월 16일 우시로쿠 주한 일본 대사를 외무부로 불러 일본 관계 당국이 문세광에게 요시이 유키오 명의의 일본 여권을 발급한 경위에 대한 일본 정부의 공식 해명을 요구하는 한편 김호룡 조총련 오사카 이쿠노니시지부 정치부장 등 일본내 공범에 대한 철저한 수사를 촉구했다.
일본측 수사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국내 반일 여론이 거세지고 있는 가운데 기무라 당시 일본 외상은 8월 29일 참의원에서 `한국에 대한 북한의 위협이 없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고 발언함으로써 우리측의 반발을 더욱 부추겼다.
주일대사는 8월 31일 사토 전 수상을 방문, 한국민은 조총련의 해체를 촉구하고 있다며 일본 정부에 영향력을 행사해줄 것을 주문하는 한편으로 외무부는 주대만 대사에게 대만이 72년 9월 일본과 국교를 단절하기 전 대만에서 발생한 사건에 대한 배경과 쌍방의 조치를 알아볼 것을 지시하는 등 강온 양면 전술을 동시에 구사했다.
김동조 외무장관은 이와 함께 9월 2일 에릭슨 미국 대리대사를 비공개로 면담, 미국 방문을 앞두고 있는 다나카 수상과 기무라 외상에게 한국 정부의 입장을 설명하고 일본에 영향력을 행사해 달라고 요청했다.
하비브 차관보는 거듭되는 한국측의 영향력 행사 주문에 12일 격앙된 어조로 “미국은 할만큼 했다”며 단호히 거절하면서 “한국의 `예정된 코스'에 대해 대충 보고를 받아서 알고 있지만 한국의 방위는 일본을 전제로 할 때만 가능한 만큼 한일 관계가 깨지면 한국 방위도 어려울 것”이라고 경고했다.
단교 방침은 박정희 대통령이 그해 9월 19일 특사로 파견된 시이나 에쓰사부로 당시 자민당 부총재와 만난 자리에서도 확인됐다.
그러나 이같은 아슬아슬한 한일관계는 시이나 특사의 방한을 약 1주일 앞두고 해빙되기 시작했다. 일본은 9월 14일 “시이나 특사가 조총련 규제에 대한 약속을 친서가 아닌 구두로 전달하겠다”는 절충안을 제시했고 결국 19일 천신만고 끝에 방한한 시이나 특사는 `보충설명'의 형식을 빌어 조총련 규제를 약속, 이 내용을 메모로 작성해 양국이 교환하는 것으로 논쟁은 일단락됐다./ 연합뉴스
"문세광사건 관련 日도 단교 각오"<日관계자> [연합뉴스 2005-01-21 09:50]
(도쿄=연합뉴스) 신지홍 특파원 = "주한 일본대사관은 몇명의 대기요원만 남겨놓고 귀국할 각오를 하고 있었다."
한국 정부의 문세광 사건관련 외교문서 공개로 문세광의 박정희 대통령 저격사건 이후 한ㆍ일 정부가 한때 단교 직전의 위기까지 갔던 것으로 드러난 가운데 당시 주일 한국대사관도 철수를 검토했었다고 일본측 관계자가 증언했다.
지난 1974년 8월 사건 당시 주한 일본대사관 정치부 1등 서기관으로 현재 성균관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하는 마치다 미쓰구(町田貢ㆍ69)는 21일자 마이니치(每日)신문과의 회견에서 긴박했던 상황을 회고했다.
마치다 교수에 따르면 양국간 갈등의 근본적 원인은 이 사건 등과 관련해 한ㆍ일 양국이 북한의 테러와 게릴라 사건을 어느 정도까지 심각하게 받아들일지를 둘러싸고 드러난 인식 차이였다.
당시 박정희(朴正熙) 정권은 "일본은 북한의 대남공작 거점"이라는 인식이 강했으며 문세광 사건 이전부터 북한이 일본에 스파이를 보내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조총련)와 협력하고 있다고 주장, 일본 당국에 조총련의 단속을 요구해왔다고 그는 전했다.
그러나 기무라 도시오(木村俊夫) 당시 일본 외상이 사건 직후인 8월말 "(한반도에) 북한의 위협은 없다"고 발언, 반발하는 한국 국민들이 일본대사관을 포위하는 심각한 사태로까지 발전했다는 것이다.
마치다 교수는 이 사건 이후 주한 일본대사가 "양국은 국교단절까지 갈지도 모른다"며 "전 직원은 언제라도 출국이 가능하도록 짐을 싸두어라"고 지시했다고 회고했다.
그 해 9월19일 시나 에쓰사부로(椎名悅三郞) 일본 자민당 부총재가 방한, 한국 정부에 테러대책을 확약함으로써 단교의 위기는 넘겼다.
shin@yna.co.kr
++++++++++++++++++++++++++++++++++++++++++++++++++++++++++++++++++++++++++++++++
그런데 오늘날에는 전혀 정 반대로 거꾸로 되어버렸다는...
그때와는 달리 오늘날 일본 쪽에서는 北에 대하여 대단히 위협적으로 인식하는 반면에
오히려 대한민국 정부는 그렇지 않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