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왜곡 감시는 커녕 파악도 못해
중국의 동북공정을 통한 한국 고대사 왜곡 시도를 일선에서 감시·대응해야 할 주중 한국대사관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7일 오후 비공식 브리핑에서는 허술한 대사관의 모습이 그대로 드러났다. 대사관측은 2004년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 파동 이후 상황을 설명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 자리에서 대사관측은 중국 사회과학원의 연구상황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있을 뿐 아니라 ‘동북공정’ 관계자조차 접촉한 적이 없다고 밝혔다.
중국 사회과학원의 동북공정 연구과제가 몇 개인지를 묻는 질문에 대사관 관계자는 “2004년 공개한 1차 과제 35개 이외는 추가로 공개하지 않고 있어 솔직히 모른다”고 밝혔다.
또 지린(吉林)성 지안(集安)시가 국가발전개혁위원회로부터 160억원 가량의 예산이 들어가는 ‘고구려 2기 공정’ 비준을 받아냈다는 걸 알고 있느냐는 질문에, “중국이 유적 보존 작업을 계속 한다는 건 알지만, 그 내용을 파악하는 데는 상당한 시간이 걸린다”고 둘러댔다. 현재 주중 한국대사관에 ‘동북공정’에 대응하기 위한 태스크포스조차 없이, 참사관급 직원 1명이 담당하고 있다. 그러다 보니 중국측 왜곡에 대한 대응도 한국 언론에 보도된 것을 따라가기에 급급한 실정이다.
(베이징=조중식특파원 [ jscho.chosun.com])
[조선일보 2006-09-09 02: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