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지식인들은 흔히들 평범한 중국인을 이해하고자 원한다면 이 책을 권합니다.
작자 : 노신(魯迅)
시대적 배경 : 신해 혁명 직후(1911) - 노신은 이 혁명이 전국적인 혁명으로 발전하지 못한 이유를 민족의 위기 속에서도 대국 의식에 사로잡혀 잇던 중국인들의 부정확한 현실 인식과 강자에게 굴종하고 약자엑 으시대는 노예근성에서 찾고 이를 비판하고 있다.
갈래 : 장편소설, 백화소설[중국에서는 구어(口語)를 백화(白話)라 하였는데, 백화는 종들의 말(言)이라 하여 멸시하였다. 청말(淸末)의 계몽운동을 거쳐 신문학 혁명이 일어나고, 천두슈가 <문학혁명론>에서 통속적 사회 문학을 주장한데서 백화문학은 구체화되었으며, 백화소설인 노신의 <광인일기>가 창작되었다. 그러나 백화 문학 운동이 전국적인 규모로 발전하여 문학 혁명의 실적을 이룬 것은 5.4운동(1919)의 힘이 컸다.]
성격 : 사실적, 풍자적
특징 : 당시 중국 사회 풍자. 한문학의 전통적인 전(傳)의 형식을 취함
주제 : 권력과 술수에 희생되는 아큐의 비극적 인생
[줄거리]
아큐는 날품팔이꾼으로 지극히 무능하고 우매하지만 자존심은 강한 성격이다. 그는 자신에게 가해지는 모욕을 소위 정신적 승리법이라는 것으로 이겨 나간다. 근대화 과정의 혼란 속에서 제법 약삭빠르게 처신하려 하지만, 그의 무지와 급한 성격으로 인해 파멸에 이를 뿐이다. 웨이좡에까지 밀어닥친 신해 혁명의 물결을 보고, 그 혁명의 이념이며 구체적인 전개 과정에는 전혀 무지한 채 단지 힘을 쓸 수 있다는 것만으로 부화뇌동하지만 결국 총살당하고 만다.
제 1장 서(序): 작가가 아큐의 傳記를 쓰는 데 어려운 점들이 서술된다.
제 2장 우승의 기록 : 아큐는 미장(未莊)마을에서 날품팔이로 살아가는 인물로 집도 없이 사당에서 산다. 마을 사람들은 아무도 그를 거들떠 보지 않는데, 그도 그들을 경멸한다. 그는 상대가 자기보다 약하게 보이면 두들겨 주는데 오히려 그가 당할 때가 많다. 그러면 그 패배를 제 속으로 승리로 돌려놓고 만족해 한다.
제 3장 속(續) 우승의 기록 : 그는 평소 무시하던 왕털보와 이 깨물기 시합에서 지고 대들었다가 얻어맞고 조 나으리 아들에게도 욕을 하다가 두들겨 맞는다. 다시 정수암 비구니를 만나 휘롱하고는 그것을 자랑스럽게 여긴다.
제 4장 연애의 비극 : 아큐는 조 나으리 댁에서 일을 하던 중 하녀에게 동침을 요구했다가 주인에게 얻어맞고 벌금을 물고 서약까지 하게된다.
제 5장 생계문제 : 하녀와의 사건이후 그는 날품팔이가 끊긴다. 대신 그 일은 모두 소디(小D)에게 갔다. 그는 소디와 한 바탕 싸운다. 암자의 무밭에 가서 무를 훔쳐먹고 성안으로 들어가기로 한다.
제 6장 중흥(中興)에서 말로(末路)까지 : 성에서 돌아온 아큐는 돈을 벌었다고 으시댄다. 그러나 점차 그것이 도둑들과 어울려 얻은 것임이 드러난다.
제 7장 혁명 : 신해 혁명당이 입성하자 아큐는 신명이 나 마을을 주름잡는다.
제 8장 혁명금지 : 혁명당이 입성했지만, 변화는 없고 이른 바 혁명의 선두는 그가 경멸했던 가짜 양놈이 차지한다. 그의 무리에 참여하고자 하나 아큐는 쫓겨난다. 조나으리 댁이 폭도들에게 털리는 장면을 본다.
제 9장 대단원 : 아큐는 폭도로 오인되어 처형된다.
감상의 길잡이
이 작품에서 가장 주목되는 것은 '아큐'라는 인물의 형상이다. 작가는 사회적 기반도 없는 날품팔이인 인물을 내세워 공허한 영웅주의와 그것의 표리를 이루는 패배주의를 집약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자기 자신의 현실적인 위치를 제대로 알지 못하고 자기 만족에 취해 있는 주인공의 모습은, 신해 혁명 직후 민족의 위기 속에서도 대국 의식에만 사로잡혀 있던 낡은 중국인들의 모습을 그대로 대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