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치 임진왜란 직전의 모습을 보는 듯 하다
국가안보 및 국민건강에 대한 지나의 위협까지 정쟁과 당리당략으로 삼으려는 정부와
여당의 한심하고 어이없는 작태에 분노를 금하지 않을 수 없다
++++++++++++++++++++++++++++++++++++++++++++++++++++++++++++++++++++++++++++++++
중국 김치 먹어도 되나… 당정 "하루 세끼 다 먹어도 무해"
시민단체 "시대 안맞는 기준 적용"
중국산 김치의 납 함유량이 국산의 최고 5배에 이른다는 한나라당 고경화 의원의 발표에 대해 식품의약품안전청과 열린우리당이 "하루 세 끼 일주일 내내 중국산 김치를 먹어도 인체에 유해하지 않다"고 반박했다.
정부와 열린우리당은 30일 국회에서 정책협의회를 열어 이같이 밝혔다. 식의약청은 보고 자료에서 "(고 의원의 조사에 따른) 최대 검출량 0.57ppm을 1일 3회 계속 섭취하더라도 인체 노출량은 납의 주간 잠정 섭취 허용량의 28.8% 수준"이라고 공개했다.
그러나 고경화 의원 측은 당장 "김치뿐 아니라 다른 음식에도 납이 함유돼 있기 때문에 '허용량의 28.8%에 불과해 안전하다'는 당정의 주장은 말이 안 된다"고 반박했다. 김치만 먹는 게 아닌 만큼 다른 음식물 속에 포함된 납 섭취량까지 포함해 유해성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식의약청 관계자는 "다른 식품에 의한 납 섭취량을 고려해도 유해한 수준이 아니라는 것"이라고 응수했다.
이와 별도로 이목희 열린우리당 제5정조위원장은 "고 의원이 비교 기준으로 삼은 국산 김치는 2002년 보건산업진흥원이 김치찌개와 일반김치를 섞어 검사한 것으로, 중국산 일반김치만을 대상으로 한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의 이번 검사와 단순 비교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당정은 이와 함께 2004년 농촌진흥청 조사에선 국내산(평균 0.30ppm)과 수입산(평균 0.36ppm)에 납 함량에서 거의 차이가 없었다는 점도 알려 고 의원의 조사가 시료의 대표성을 확보했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그러나 당정은 국민의 불안을 감안해 ▶학계.소비자단체.관련업체 등으로 '김치 안전관리 기준 자문위'를 설치하고 ▶국산 김치 28개 제품과 중국산 31개 제품을 수거해 납.카드뮴.수은.비소 등 중금속 함량을 정밀 검사해 발표키로 했다. 이를 바탕으로 연말까지 김치의 납 허용 기준을 마련키로 했다.
이 위원장은 "김치처럼 배추.무.젓갈.고춧가루 등 다양한 원료가 사용되는 복합식품의 경우에는 개별적인 중금속 기준 설정에 어려움이 있어 안전관리의 사각지대가 발생하고 있다"며 기준 마련을 통해 안전성 확보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산 김치의 유해성 논란과 관련, 서울환경운동연합 이지현 국장은 "현재 식의약청의 각종 유해성 판단 기준은 시대에 맞지 않게 뒤떨어져 있다"며 식품 안전 기준의 정비를 촉구했다.
한국 소비생활연구원 김연화 원장도 "소비자들은 납 성분이 있다는 자체만으로 안전에 위협을 느낀다"며 철저한 위생관리 대책을 마련할 것을 주문했다.
김선하.김호정 기자 <odinelec@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