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공직사회 탄광투기 ''어수선''
[세계일보 2005-10-05 03:09]
중국에 공직자의 탄광 투기를 둘러싼 갈등이 확산하고 있다. 석탄 값이 뛰면서 탄광 투자가 노다지를 캐는 장사로 떠오르고, 이에 눈치 빠른 정부 공무원과 국유기업 간부들이 투자에 뛰어든 것. 그러나 투기 성격을 띤 자금이 흘러 들어간 탄광에서 대형 사고가 잇따르자, 중국 국무원이 공직자의 투자자금 회수명령을 내리면서 중국 공직사회가 어수선해지고 있다.
중국 정부가 공직자에 대해 탄광 투자금 회수명령을 내린 것은 지난 8월 7일 광둥(廣東)성 다싱(大興)탄광에서 123명이 숨지는 대형 참사가 발생한 직후인 그 달 하순이다. 중국 정부는 모든 공직자에게 9월 26일까지 투자금을 모두 회수하라고 지시했다.
이 같은 조치는 다싱탄광을 비롯한 상당수 탄광에 공직자의 돈이 흘러 들어간 사실이 확인됐기 때문이다. 투기자금이 유입된 탄광에서는 수익에만 혈안이 된 결과 탄광 안전이 뒷전으로 밀리면서 잇단 대형 참사를 불러오고 있다.
그러나 지시가 떨어졌지만 회수 실적은 저조하기만 하다. 국가안전생산감독관리총국은 투자자금 회수시한인 지난달 26일 하루 전까지 구이저우(貴州) 후난(湖南) 허베이(河北) 등 9개 주요 성에서 공무원과 국유기업 간부 497명만 투자자금 회수신고를 했다고 밝혔다. 베이징에서 발간되는 신경보(新京報)는 석탄 도시로 이름 난 산시(陝西)성 둥촨(銅川)에서는 9월 22일 현재 투자자금 회수를 신고한 공직자가 한 명도 없다고 전했다.
베이징=강호원 특파원
hkang@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