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07.13(일)
페이스북 바로가기 트위터 바로가기
  • 중국

  • 국제/국내

  • 특집

  • 기획

  • 연재

  • 미디어/방송

  • 션윈예술단

  • 참여마당

  • 전체기사

검색어 입력
支 김치공장의 실태 고발
이름 : 大韓民国人
2005-10-24
◇중국의 산둥성과 랴오닝성에서는 국내에 수입되는 김치의 원료로 쓰이는 배추와 무가 대량으로 재배되고 있다. 사진은 베이징 근교의 배추·무 밭과 비닐하우스. 베이징=강호원 특파원   "불량시설서 불량김치 나올 수밖에” 중국 현지서 본 '김치파동'…공장 대부분 영세·인분으로 재배   ◇중국의 산둥성과 랴오닝성에서는 국내에 수입되는 김치의 원료로 쓰이는 배추와 무가 대량으로 재배되고 있다. 사진은 베이징 근교의 배추·무 밭과 비닐하우스. 베이징=강호원 특파원   국내에서 발생한 ‘기생충 김치 파동’이 중국으로 옮겨가고 있다. 김치 납 파동에 이어 기생충 파동까지 더해지면서 중국의 최대 농산물 수출기지인 산둥(山東)성에는 전례없는 위기가 몰아닥치고 있다. ‘웬 날벼락이냐’는 분위기다. 그러나 이번 기생충 김치 파동이 배추 재배 방식에서부터 위생관리에 이르기까지 총체적인 것이어서 기생충 김치 파동은 일파만파 확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일각에서는 한중 무역분쟁을 걱정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이에 중국 내 농업 전문가들은 “값싼 김치를 사들이려는 한국내 김치시장의 구조적인 문제가 국민건강을 위협하는 결과를 낳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기생충 김치, 어디서 비롯되나=중국산 김치 재료로 쓰이는 배추와 무는 주로 산둥성과 랴오닝(遼寧)성에서 생산되고 있다. 이곳 수만 가구의 크고 작은 농가에서 배추·무를 김치공장에 공급하고 있다. 중국내 한 농업 전문가는 “중국 농가에서는 농작물 재배 과정에서 인분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 같은 인분 사용이 김치에 기생충 알이 묻어 있게 되는 결정적인 원인”이라고 말했다. 중국에서 인분으로 배추·무를 재배하는 방식은 세가지로 나누어진다. 포기마다 인분을 조금씩 주는 방법, 인분을 밭에 뿌린 뒤 흙을 뒤집는 방법, 퇴비에 섞어 발효시키는 방법이다. “이중 퇴비에 섞어 발효시키는 방법 외에는 기생충 알이 배추·무에 남아 있을 가능성이 크다”고 이 관계자는 말했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인분 재배를 금지하는 내용의 계약재배를 하는 방법밖에 없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불량김치 양산하는 영세공장=중국내 김치공장은 100곳이 넘는다. 이들은 주로 산둥·랴오닝성에 몰려 있다. 베이징 인근에도 국내 유명 브랜드와 북한의 해당화 김치공장이 있지만 국내에 수출되지 않는다. 국내시장을 겨냥한 김치는 산둥·랴오닝성에서 만들어지는 김치다. 한국과 지리적으로 비교적 가깝기 때문이다. 산둥성의 경우 칭다오(靑島) 옌타이(煙臺) 웨이팡에는 60여곳이 넘는 김치공장이 성업 중이다. 이들 공장은 한국인과 중국인 조선족에 의해 운영된다. 불량김치가 주로 만들어지는 곳은 영세한 김치공장이다. 한국인과 조선족이 경영하는 김치공장 중 일부가 이 부류에 속한다. 오히려 중국공장 중에는 위생시설이 완비된 초대형 공장이 많다. 산둥성 내 최대 야채 산지인 웨이팡에는 투자자금이 100억원대를 넘는 초대형 중국공장도 있다. 일본자본이 투입된 대형 중국 김치공장도 7∼8군데에 이른다. 이들 공장에서는 가공 야채와 김치를 생산, 일본으로 수출하고 있다. 중국에서 김치공장을 운영하는 김모씨는 “김치공장이 하루에도 한 곳이 생기고 한 곳이 문을 닫는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김치 공장의 부침은 심하다”고 말한다. 한국과 조선족이 운영하는 영세 김치공장일수록 이같은 일이 허다하다. 국내 수입업자의 김치 수입가격 후려치기도 문제다. 베이징에서 김치를 생산하는 모 업체의 생산원가는 ㎏당 2400원 안팎이다. 그러나 산둥성에서 국내 수출을 위해 생산되는 김치는 400∼500원에 불과하다. 위생 설비를 제대로 갖추기 힘든 상태에서 싼 가격에 김치를 만들어야 하니 비위생적으로 만들어지는 것은 어쩌면 당연하다. 지하수를 이용, 큰 통에 담긴 배추를 발로 씻고 녹슨 기계로 김치를 담그는 중국 김치공장의 현주소는 수입업자들의 이익과 맞물려 있다. 기생충 김치 파동이 중국 내 한국 김치상을 막다른 골목으로 내몰고 중국의 대형 김치공장이 대신하게 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이번 김치 파동을 계기로 중국 정부가 강력한 위생기준을 적용, 한국인과 조선족에 의해 운영되는 영세 김치공장을 퇴출시킬 여지가 있기 때문이다. 베이징=강호원 특파원  hkang@segye.com  2005.10.24 (월) 19:24  
  목록  
글쓰기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378 중국에서 한반도로 유입되는 오염물질, 외국의 3 ~ 4배 [5]
조기
05-10-25 1781
1377 "중국경제, 붕괴로 치달아"
그럼 그렇지
05-10-25 1859
1376 支 "돈된다면…" 철로 뜯는 지나족들 [5]
大韓民国人
05-10-24 2957
1375 支 여성 25% 性생활에 불만
大韓民国人
05-10-24 3232
1374 싱가포르도 결국은 支那族 나라 [3]
大韓民国人
05-10-24 1632
1373 중국유학가면 인생 조진다 [13]
김선생
06-04-24 4044
1372 인체에 치명적인 支那産은 아무도 안먹는다
大韓民国人
05-10-24 1344
1371 支 식품 불매운동 확산
大韓民国人
05-10-24 2344
1370 支 김치공장의 실태 고발
大韓民国人
05-10-24 3232
1369 中 “날씨 오보로 피해땐 형사처벌” [1]
05-10-23 1590
1368 "기생충 항목 없어 중국측 반품 거부" [1]
MJ
05-10-23 1375
1367 한 유학생의 하소연을 보니 김선생의 말이 진리라는 것.... [3]
으음
06-04-23 2917
1366 중국「해체」25가지의 균열 - 열일곱번째
나머지
05-10-22 1280
1365 중국「해체」25가지의 균열 - 열여섯번째
나머지
05-10-22 1362
1364 조선족과외교사가 고1유학생 살해 [2]
모닝
05-10-21 1725
1363 < 중 : 경매싸이트에 "아기 팔겟다"광고 >.
경매싸이트
05-10-21 1655
1362 구질구질? 에는 기준이 없다 (5) [4]
나그네
06-04-22 2623
1361 아름다움의 끝은 어디인가? [1]
열성팬
06-04-22 2179
1360 중국「해체」25가지의 균열 - 열다섯번째
나머지
05-10-18 1933
1359 보고싶은 김사장님 [3]
박사장
06-04-21 2240
글쓰기

특별보도

더보기

핫이슈

더보기

많이 본 기사

더보기

SOH TV

더보기

포토여행

더보기

포토영상

더보기

END CCP

더보기

이슈 TV

더보기

꿀古典

더보기
449,116,147

9평 공산당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