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패한 지방관리, 주민 땅 헐값에 팔아
양극화 반발 주민시위·유혈사태 잇달아
사회주의 정치체제와 시장경제를 결합한 중국 개혁개방의 쓰라린 부작용이 빠른 속도로 성장 중인 광둥(廣東)성을 중심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 지역은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최근 집중적으로 돌아보았고 중국의 신흥 부촌이 형성된 곳이다.
인터내셔널 헤럴드 트리뷴은 19일 주민 시위를 무력 진압해 최근 수십 명이 부상한 것으로 알려진 판룽 마을 르포를 통해 "광둥성은 급격한 경제성장 과정에서 나타난 계층간 불평등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고 밝혔다.
광둥성 중산(中山)시 인근 작은 농촌마을 판룽은 빠른 공업화 영향으로 도로와 공장이 들어서고 있다.
이 지역 경찰은 14일 합법적인 토지 보상금을 요구하며 고속도로를 봉쇄한 주민들을 전기 충격봉과 최루탄으로 진압, 수십 명이 부상한 것으로 전해졌다. 주민들은 고속도로 및 의류공장 건설을 위해 수용한 토지 보상금을 지역 관리들이 횡령했다며 이 달 11일부터 농성을 벌여왔다.
이들은 "어느날 관리가 10위안(약 1,200원)을 준다며 회의에 나오라고 해 출석서명을 했는데 그게 바로 토지수용 계약서였다", "평생 살던 집을 50년 간 매년 700위안(약 8만5,000원)씩 주고 빼앗겠다고 한다"며 억울함을 쏟아내고 있다.
돈에 눈이 먼 부패한 관리들이 주민의 땅을 헐값에 빼앗아 이익을 챙긴 뒤 대궐 같은 집에서 떵떵거리고 사는 '광둥식 양극화'의 단면이다.
BBC인터넷판도 17일 "중국서 가장 부자들이 많은 이 지역에 불길한 그림자가 드리워지고 있다"면서 "이는 중국식 경제개혁이 불러온 부작용의 축소판"이라고 분석했다.
지난해 12월에는 광둥성 산웨이(汕尾)시 둥저우(東洲) 마을 주민 300여명이 강제 토지수용에 항의하자 중국 경찰이 총을 쏴 최소 20명이 사망했다.
이보다 앞서 7월 말부터 부패관리 파면 운동을 벌여온 타이스(太石) 마을에는 "언론인과 주민 대표가 괴한에게 당했다"는 소문이 지금도 파다하다.
김 위원장 방문 기간에 선전 뤄후(羅湖)구 까르푸 할인매장서 폭발물이 터진 사건도 이 지역의 불안한 정세를 보여준다.
이 지역은 김 위원장과 김일성종합대학 동창인 광둥성 당위원회 장더장(張德江) 서기가 사실상 책임을 맡고 있는 곳이다. 장 서기는 김 위원장의 시찰을 안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BBC는 "장 서기는 장쩌민(江澤民) 전 국가주석과 긴밀한 정통 당 간부"라며 "광둥은 경제발전으로 인한 사회갈등을 공산당의 통제력으로 막아보려는 중국식 전략의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고 설명했다.
* 관리자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6-01-26 1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