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07.30(수)
페이스북 바로가기 트위터 바로가기
  • 중국

  • 국제/국내

  • 특집

  • 기획

  • 연재

  • 미디어/방송

  • 션윈예술단

  • 참여마당

  • 전체기사

검색어 입력
고조선(古朝鮮)사도 천문학적(天文學的)으로 증명3
이름 : 중화빈민공화국
2006-02-06
고조선(古朝鮮)사도 천문학적(天文學的)으로 증명3 - 이 글은 월간 신동아 97년 2월호에서 발췌하였습니다.- -          .(앞에서 계속)      그는 지난 94년 삼국시대의 천문기록에 대한논문을 발표하기 1년전에 단군시대에 대한 천문기록을 이미, 연구발표한 바 있다고 말했다. 사실 이때의 경험이 삼국시대 천문기록을 검증하게 된 원인이 됐다는 것. 그러나, 그가 "단군조선시대 천문현상기록의 과학적 검증"이란 제목으로 발표한 논문은 내용이 워낙 충격적이라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지지 못했다고 한다.      최근에 들어서야 단군시대의 존재 가능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분위기가 있지만 국사학계에서는 아직도 단군을 신화시대로 취급하고 있을 뿐이다.     현재 단군조선의 역사를 기록한 대표적인 사서로는 단기고사와 한단고기를 들수가 있다. 단기고사는 발해이 건국시조인 대조영의 아우 대야발이 엮은 단군조선과 기자조선의 편년체 역사서이다. 여기서는 역대 단군임금들의 행적등이 일일이 소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역사서는 단군조선에 대한 풍부한 내용을 담고 있으면서도 기성 사학자들로부터 위서(僞書)라는 낙인이 찍혀 외면돼 왔다. 이 서적들이 최근에 들어서야 세상에 알려지기 시작했고, 또 일부 내용이 과장되어 있다는 이유였다.       "위서(僞書)라고 대접을 받지 못하는 단군조선에 관한 책에도 천문현상이 기록되어 있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동아시아 제국들은 천체현상이 지상의 운명에 영향을 준다는 주술적 믿음 하에 천체운행에 대해 관심을 보였던 것이다. 그렇다면 이들 책이 위서(僞書)냐 아니냐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바로 당대의 천문현상의 현장으로 돌아가 확인해 보는 것입니다. 방법은 삼국시대 천문기록검증과 같은 식입니다. "       박교수에 따르면 이들 단군 역사서에는 모두 12회의 천문현상에 대한 기록이 수록돼 있다고 한다. 일식현상에 대한 기록이 모두 10군데로 가장 많고 목성,화성,토성,금성,수성등 다섯 별이 한자리에 모인 오행성결집현상, 그리고 큰 썰물에 대한 기록이 한 군데씩 기록돼 있다.       여기서 주목할 만한 것은 오행성 결집 현상에 대한 기록이다. 제13세단군인 홀달단제 50년(무진년), 즉 BC 1733년에 다섯 개 별이 누성(동양천문학에서 표시하는 별자리 이름)근처에 모였다는 뜻이다. 박교수팀은 기록에 나타난 BC1733년을 기점으로 전후 약 5백50년사이에 오행성의 결집이 일어난 시점을 컴퓨터로 샅샅이 조사했다.      검정결과는 기대 이상이었다. 기록에 나타난 B.C.1733년으로부터 바로 1년전인 B.C.1734년에 매우 뚜렷한 형태로 오행성이 서로 아주 가까워져 있는 현상이 발견된 것이다. 이해 7월13일 초저녁 다섯 개의 별이 지상에서 보아 약 10도이내의 거리에 모여 있었고, 왼쪽 하늘에 초승달이 비스듬하게 떠 있어.별빛이 한층 찬란하게 빛났다. 천문학적으로도 매우 드문 현상이었다. 한편 B.C.1733년을 기점으로 하여 오행성이 가깝게 모인 시기는 그보다 약 180년전인 B.C.1953년 2월 25일 새벽 단 한번밖에 없었다. (도표) 단군조선시대의 천문현상 기록 일람표 순서 시기 기록내용 비고 1 2세 단군 부루58년(B.C.2183) 일식 ? 2 13세단군 홀달 50년(B.C.1733) 오성취루 1년오차 3 17세단군 여을 20년 여름(B.C.1533) 일식 ? 4 29세 단군 마휴 9년(B.C.935) 남해 썰물 4년후 실현 5 6세 기자 2년 7월(B.C.918) 일식 4년후 실현 6 32세 단군 추밀 13년 3월(B.C.837) 일식 4년후 실현 7 35세 단군 사벌 8년 4월(B.C.765) 일식 연도 일치 8 19세 기자 1년 봄(B.C.579) 일식 연도일치 9 39세 단군 두홀 21년 8월(B.C.525) 일식 월까지 일치 10 44세 단군 구물 3년 2월(B.C.423) 일식 월까지 일치 11 47세 단군 고열까 48년(B.C.248) 일식 연도 일치 12 36세 기자 인한 35년(B.C.241) 일식 연도 일치      박교수는 " 기록연수가 1년 정도 차이가 나는 것은 당시의 시간계산법과 3천여년이 지난 지금의 시간 계산법 차이를 고려하면 무시해도 좋은 수치" 라고 말했다.  만약 후대의 누군가가 이 현상을 작위적으로 기술해 넣었을 경우 이것이 서로 맞아 떨어질 확률은 계산 결과 0.007%정도로 매우 희박한 것이다.     오행성 결집 현상과 함께 박교수팀이 주목한 것은 큰 썰물에 대한 기록. 두 사서모두 제 29세 마휴단제 9년 (B.C.935년)때 "南海潮水退三尺"이라 하여 남해의 바닷물이 3척이나 뒤로 물러났다고 적혀 있다. 조수면의 변화는 달과 태양의 조석력에 의해 일어나므로 천체운동과 직접적 관련이 있다. 오행성 결집에 대한 조사와 마찬가지로 B.C.935년을 기점으로 전후 2백년간에 나타난 조석력의 작용을 조사해 본 결과, 기록에 나타난 해로부터 4년 후인 B.C.931년 11월 22일에 가장 큰 조석력이 작용했다는 점이 밝혀졌다. 기록과 정확히 맞아 떨어지지는 않았지만, 전후 2백년 기간에 가장 큰 조석력이 4년후에 발생했다는 사실은 천문학적으로 매우 의미있는 대목이라고 박교수는 지적했다. 마찬가지로 후대의 누군가가 작위로 이 기록을 써넣었을 가능성은 0.04%에 지나지 않았다. 재미있는 점은 일식기록에서도 4년의 오차가 바생한게 2건이나 된다는 점이다. B.C.935년에 근접한 일식 기록으로는 6세 기자임금 2년(B.C.918년) 7월의 기록과 32세 단군 추밀 13년(B.C.837년) 3월의 기록이다. 이들 기록때에는 일식이 실제로 일어나지 않았지만, 정확히 4년후에는 각각 대응시킬 수 있는 일식이 발생했다. 그렇다면 이는 단군역사를 기록하는데 있어서 연대 계산상 오차가 있었다는 가정도 생각해 볼 수 있는 대목이다. (이것을 통계적으로 체계적인 오차라고 한다. -편집자주) 단군시대 일식과 관련해 박교수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 연구에 착수할 당시 가장 크게 기대했던 것은 사실 일식 현상에 대한 기록이었습니다. 일식 현상은 그것을 관측하는 지점에 따라 달리 보이기 때문에 일식 기록에 대한 분포도를 작성하면 단군 조선의 수도나 강역에 대해서도 의미 있는 결과는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기 때문입니다. "      중국 사서에 나타난 최초의 일식 기록이 주나라 때인 B.C.776년인데 비해 우리의 경우는 제2세 부루단제 때인 B.C.2183년에 일식이 있었던 것으로 기록돼 있어 중국 기록보다 적어도 1,400년이나 앞선다는 점, 그리고, 10개의 일식기록중 5개의 기록(4년후로 계산한 2개의 기록까지 합치면 모두 7개)이 실제 현상과 일치하고, 그중 2개는 연도뿐 아니라 월까지 일치하고 있는 점 등은 주목할 만하다고 박교수는 밝혔다. 일부사학계도 연구 결과 인정      연구 결과 박교수팀이 내린 결론은 이 사서들이 그동안 일본인 학자들이나 국내 기성 사학계에서 주장한 것처럼, 전적으로 후대의 누군가에 의해 날조된 것만은 아니라는 것이다.    "역사적 사실은 왜곡이 가능하고 이를 확인하기도 여렵지만, 천문 현상은 윤색이 거의 불가능합니다. 특히 단군 조선시대의 천문관측기록은 중국보다 월등히 앞선 연대이기 대문에 중국 기록을 베낄 여지가 없습니다. 따라서, 이 사서들이 후대에 추가되고 윤색되었다는 점도 있으나 상당 부분은 단군 조선 당시의 기록에 근거하고 있다고 봐야 할 것입니다. "    박교수의 연구는 그동안 사서의 내용에 대해 상당 부분 신뢰하고 있으면서도 기성 학계의 두터운 벽 때문에 실제 연구 과정에서 제외실킬 수밖에 없었던 고조선사 연구 학자들의 비상한 관심을 끌고 있다.(중략)이처럼 한 천문학자의 집요한 연구결과가 기존의 학문세계에 커다란 파문을 일으키고 있다. 여러 학문들이 분할돼 자기의 영역만 찾을 것이 아니라 인접 학문들과 공동보조를 맞추면 의외의 소득을 거둘 수 있다는 귀중한 사례를 보여준 것읻. 그러나,  박교수는 자신의 연구 결과에 노골적으로 반발하는 사학자들도 없지 않았다고 말한다. 사학계의 반응     삼국시대 천문관측 연구 논문을 발표한 이후 국사학을 전공하는 어느 학자로부터 전화를 받았습니다. 천문학이나 열심히 할 것이지 왜 남의 학문에 끼여들어 근거도 없는 말을 하느냐라는 것이었다. 무엇이 근거 없는지를 대보라고 하니까 국사학자들이 연구하고 판단한 상식과 맞지 않는다는 겁니다. 저는 과학자입니다. 과학자는 과학적인 결과만 놓고 말할 뿐입니다. 과학적으로 연구 결과가 틀렸다면 얼마든지 정정할 용의가 있습니다. 그러나 과학적 연구결과를 인정한다면 학문에 있어서 다시 생각해 보는자세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그러면서 박교수는 왜 역사가 국사학자들만의 것이냐고 반문했다. 한국인이면 당연히 한국역사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해 보는 것이 상식적이지 않느냐는 것이다. * 관리자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6-02-07 16:14)
  목록  
글쓰기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818 "중국, 자원확보위해 테러국가 접근"<美 에너지부>
깡패중공
06-02-13 1588
1817 야후 또 이러네
RSF
06-02-13 1384
1816 왜 중국 투자를 자제해야 하는가? [1]
06-02-12 1470
1815 대통령 보고서 제목도 틀리다니…" [8]
ㅋㅋㅋ
06-02-12 1520
1814 광개토대왕릉비는 진짜인가?? [9]
중화빈민공화국
06-02-09 1925
1813 윤관의 동북(東北)9성
중화빈민공화국
06-02-09 2329
1812 바다를 지배한 백제인
중화빈민공화국
06-02-09 1418
1811 바보온달과 평강공주
중화빈민공화국
06-02-10 1591
1810 야후가 中 인권탄압 도왔다
권영훈
06-02-11 1528
1809 中 비판신문 편집장 해고..언론통제 가속화
또 한껀
06-02-09 1477
1808 한국대학생의 호감도‘美 >日 >中’ [4]
조사
06-02-08 1534
1807 중국은 앞으로 여자가 부족하다 ............ [3]
박리포트
06-02-08 1890
1806 中 시각장애 ‘인권스타’ 떴다
인권
06-02-08 1544
1805 中남부 AI 온상..10년간 4가지 변종
연합
06-02-07 1440
1804 고조선(古朝鮮)사도 천문학적(天文學的)으로 증명3
중화빈민공화국
06-02-06 1601
1803 古代 三國의 무대는 中國대륙이었다2
중화빈민공화국
06-02-06 1727
1802 古代 三國의 무대는 中國대륙이었다1
중화빈민공화국
06-02-06 1600
1801 왜 군사대국을 건설해야 합니까?
ㅋㅋㅋ
06-02-07 1305
1800 나는 살인자
ㅋㅋㅋ
06-02-07 1729
1799 北, 학습제강이 강조하는 이색적 생활풍조
ㅋㅋㅋ
06-02-07 1611
글쓰기

특별보도

더보기

핫이슈

더보기

많이 본 기사

더보기

SOH TV

더보기

포토여행

더보기

포토영상

더보기

END CCP

더보기

이슈 TV

더보기

꿀古典

더보기
449,847,218

9평 공산당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