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PC방 입장땐 이름 적어야…파출소서 동시접속
중국에 있는 PC방을 이용하면 경찰이 함께 들여다보고 있다고 보면 틀림없다. PC방의 화면을 관할 파출소가 동시에 접속할 수 있도록 했기 때문이다. 당연히 인터넷 뜨는 속도가 느릴 수밖에 없다. PC방에 들어갈 때도 이름을 적도록 해, 나중에 만일의 사태가 생겼을 경우 인터넷 이용자를 손쉽게 추적할 수 있도록 했다.
이와는 별도로 5만명으로 추산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중국 사이버 경찰은 ‘폴리스네트’라는 이름의 여과장치를 이용해 중국 전역의 인터넷을 돌아다니면서 반체제 인사들의 동향과 파룬궁(法輪功) 등 불법 종교단체의 움직임 등을 일거수일투족 감시하고 있다. 영국 BBC, 미국의 소리(BOA), 홍콩의 명보(明報) 등 중국에 우호적이지 않은 기사를 자주 게재하는 외국 언론사 웹사이트는 아예 접근을 하지 못하도록 막고 있다. ‘민주주의’ ‘6·4사태’ ‘파룬궁’ 등 민감 단어는 자동삭제된다.
이처럼 중국이 인터넷 단속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것은 인터넷 인구의 급증 때문이다. 중국은 세계 제2의 인터넷 대국이다. 지난해 말 현재 중국의 인터넷 사용인구는 1억1천만명을 기록했고, 전문가들은 2010년이 되면 2억5천만명으로 늘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중국 시골마을 어디를 가나 PC방이 없는 곳이 없을 정도로 13억 인구의 중국 사람들과 인터넷은 필수불가결한 존재가 되고 있다.
중국 당국은 인터넷이 양극화에 불만을 품은 농민이나 노동자, 실업자 등 사회 소외세력을 하나로 묶는 매개체가 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 이 때문에 중국 당국은 시나닷컴, 바이두닷컴 등 국내 인터넷 포털 사이트나 검색엔진은 물론 마이크로소프트(MS), 야후, 구글 등 중국 시장에 진출한 외국 인터넷 업체들의 협력을 ‘유도’하고 있다. 진보적인 성향의 남방도시보 출신 기자인 안티(安替)가 개설, 인기가 높았던 폭로물 블로그도 최근 중국 당국의 요청을 받아들인 MS가 MSN 메신저 서비스를 거부해 문을 닫아야 했다. 중국 당국은 공산당을 비판하는 부담스러운 내용들이 인터넷에 올라오더라도 관망하고 있다가 2개월이나 3개월이 지난 뒤 자연스럽게 지우고 있다.
〈베이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