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진출 외국기업 수난시대
'중국에 진출한 외국계 기업들은 이제부터 본격적인 수난을 겪을 것이다 .'
일본 경제주간지 닛케이비즈니스는 1월 23일자 특집기사에서 달라지고 있는 중국 내 사업 환경에 주의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최근 일본계 기업을 대상으로 한 중국 정부의 갑작스러운 세금 징수 통고와 각종 부담금 납부 압력 등 기업을 둘러싼 외부 환경이 바뀌고 있다는 설명이다.
지난해 여름부터 중국 광둥성에 진출한 많은 일본계 기업은 중국 정부에서 각종 벌금을 부과받았다.소비세나 관세 등을 둘러싼 부정한 회계처리 등을 일제히 지적받 은 것이다.
광둥성 선전시에서 부품 제조업을 하는 일본계 중소기업 A사장은 "갑자기 150만엔의 벌금을 내라는 통지서가 날아들었다.
벌금을 부과한 자세한 이유나 벌금액이 산정 된 기준에 대한 아무런 설명이 없었다.
인근 업체들도 똑같은 액수의 벌금을 통보 받았다"고 황당해했다.
당시 선전시에는 '외국계 기업에서 총액 2억엔의 세금을 징수하라는 중국 중앙정부의 세금 할당량이 선전시로 내려왔다'는 소문이 나돌았다.
재정 악화를 겪고 있는 중국 중앙정부가 지난해 여름부터 외국계 기업을 주요 세금 부과 대상으로 삼기 시작했다는 분석이다.
또 다른 일본계 기업은 '장애인 고용 의무비율을 지키지 않았다'는 이유로 광둥시 에서 처음으로 이 같은 종류의 벌금을 부과받았다.
이를 뒤집어 해석하면 '값싼 노동력을 기대하고 중국으로 진출하는 외국계 기업은 이제 필요없다'는 메시지다.
외국계 기업에 대해서는 우대하겠다고 하던 정책에서 불과 몇 년 사이에 '이제는 선별하겠다'로 바뀐 것이다.
닛케이비즈니스는 앞으로 외국 기업이 중국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4가지 전략을 택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우선 빠르게 상승하고 있는 인건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는 생산자동화나 기계화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밝혔다.
일정 수준 이상 기술력을 갖춘 인재를 구하기 힘들고 임금도 급상승하는 만큼 중국의 저임금 노동력에 의존하는 사업모델은 이미 수명이 다했다는 분석이다.
취급하는 제품군도 하루빨리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바꿀 것도 제안했다.
산둥성 둥완시에서 금속부품 제조업체인 후지정기를 경영하는 사이토 사장은 "아무리 어려운 제품에 대한 주문이 들어와도 받아들인다.
다른 회사가 할 수 없는 고수준 제품 에 도전하는 것만이 기술수준이 급격히 높아지고 있는 중국시장에서 생존할 수 있는 비결이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서는 제품에 대한 연구개발(R&D) 등 '기업의 두뇌활동'까지도 중국에서 이뤄져야 한다고 닛케이비즈니스는 조언한다.
중국 정부의 기술인력 양성에 대한 의지를 미리 간파한 기업들도 속속 나오고 있다 . 일본의 복사기 업체인 리코의 선전공장에 2004년 사장으로 부임한 이토우 씨도 그 들 중 한 명. 부임하자마자 처음으로 현지공장에 연구개발부서를 만들었다.
30명으로 출발한 연구원이 현재는 60명으로 늘었으며 곧 100명으로 늘릴 계획이다.
중국 내 자체 기술인력으로 개발해내는 것이 장기적으로 타사와 경쟁에서 이길 수 있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닛케이비즈니스는 이처럼 제품의 기획, 개발, 생산까지 철저하게 현지화 전략을 구사한 기업만이 앞으로 중국시장에서 살아남을 것으로 내다봤다.
[도쿄 = 김대영 특파원] < Copyright ⓒ 매일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