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중국의 2분기 GDP 성장률이 2009년 이후 최저치인 7.6%를 기록했습니다.
이 같은 수치는 지난 1분기 성장률 8.1% 보다 0.5 포인트 감소된 것이고 시장예상치인 7.7% 성장을 밑돈 것으로 이에 따라 중국의 GDP 성장률은 2009년 1분기 7.9%를 기록한 이후 3년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으며 6분기 연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중국 정부는 올해 성장률을 7.5%로 전망하고 있지만 1,2분기 성장률이 모두 악화됐을 뿐만 아니라 3분기 전망마저 어두워지면서 정부가 내놓은 7.5% 목표에 대해서도 우려하는 여론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중국 정부는 글로벌 경기침체에 따른 수출 부진으로 중국의 성장률 둔화가 계속되자 앞으로는 수출 대신 내수에 중점을 두겠다고 밝혔습니다.
또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을 위해 올해 초부터 각종 전자제품에 대한 보조금 지급 등 내수 소비 대책 방안을 제시하고 있지만 현재까지 내놓을 만한 결과는 나오지 않고 있어 중국인들의 구매력이 크게 떨어졌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아울러 중국 내구재 재고도 심각한 수준이고, 지난달 수입도 12.7%에서 6.3%로 크게 떨어지면서 경기 침체가 심화되자 원자바오 총리는 ‘적극적인 경기방어를 최우선으로 하겠다’고 발표해 그에 따른 추가적인 경기부양책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시장 전문가들은 6월과 7월에 시행된 기준금리 인하에 대해, 중국 정부가 연내에 기준금리를 최대 2차례 정도 더 내리고, 지급준비율 또한 약 2~3회 정도 추가 인하할 것을 전망하고 있습니다.
이 같은 기준금리와 지준율의 인하가 이루어질 경우, 신규 위안화 대출은 지난해 7.5조 위안에서 올해 약 9조 위안까지 늘어나고 통화공급량 증가율도 14%에 이를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연착륙 기준이 되는 8% 성장률을 밑돌았고 또 다른 경제지표 또한 부진하면서 중국의 경착륙 공포는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