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05.28(수)
페이스북 바로가기 트위터 바로가기
  • 중국

  • 국제/국내

  • 특집

  • 기획

  • 연재

  • 미디어/방송

  • 션윈예술단

  • 참여마당

  • 전체기사

검색어 입력

中 부동산 위기 UP... 성장 전망 하향

디지털뉴스팀  |  2021-12-11
인쇄하기-새창



▲ [사진=SOH 자료실]


[SOH] 중국 부동산기업 헝다(恒大)가 6일 사실상 디폴트(채무상환 불이행)에 빠지는 등 중국의 부동산 유동성 위기가 커진데 대해 글로벌 투자은행과 금융기관들이 중국의 경제성장률을 낮춰 잡고 있다고 ‘문화일보’가 8일 보도했다.


지난 1일 블룸버그통신은 중국의 올해 성장 전망치를 8.4%에서 8.0%로, 내년 전망을 5.5%에서 5.3%로 각각 하향했다.


국제통화기금(IMF) 역시 각각 8.0%와 5.6%로 이전 전망에 비해 각각 0.1%포인트씩 내렸고, 노무라증권은 8.2%와 5.5%에서 7.1%와 4.3%로 각각 1%포인트 이상 낮춰 잡았다.


투자회사 JP모건과 골드만삭스, 신용평가사 피치 등도 중국의 기존 전망치를 하향 조정했다.


심지어 중국 국무원 산하 싱크탱크인 사회과학원도 내년 중국의 GDP 성장률을 5.3%로 예상했는데, 중국이 6% 미만의 GDP 성장률을 기록한 것은 코로나19 팬데믹이 심했던 지난해를 제외하면 톈안먼(天安門) 사태로 서구의 제재를 받던 1990년 이후 처음이다.


전문가들은 이들 기관이 중국의 성장치를 하향 조정한 것은 헝다의 디폴트 등 부동산 시장의 유동성 위기가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고 있다.


헝다는 그동안 위기를 근근이 넘겨왔지만 지난 6일까지 내야 할 8249만 달러(약 989억 원)의 이자 지급에 실패한 것으로 확인돼 사실상 디폴트 상태가 됐다.


중국에서 부동산은 직간접적으로 중국 GDP의 약 30%를 차지해, 기업들의 연쇄 디폴트는 경제 전반에 큰 타격을 줄 것으로 분석된다.


국제금융연구소(IIF)는 중국의 부동산 시장은 둔화가 계속되면서 2022∼2031년의 성장률이 연평균 3% 이하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하기도 했다.


여기에 ‘공동부유’를 내세운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의 분배 중심 경제정책, 코로나19 재확산, 전력 수급 차질 등도 중국의 GDP 성장의 악재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목록  
글쓰기
번호
제목 이름 날짜
1196 中 “최악 가뭄, 가을까지 계속”... 벼 생산 차질 불가피
박정진 기자
22-09-14
1195 경제 잡는 제로코로나... 中 GDP 28년 만에 최저
디지털뉴스팀
22-09-05
1194 中 주요 경제도시들... 제로코로나 제한·봉쇄 연장
구본석 기자
22-09-05
1193 일대일로 부채 위기... 아프리카·동중아시아도 심각
디지털뉴스팀
22-09-03
1192 中 지방정부 ‘벌금’ 남발로 재정난 해소?
권민호 기자
22-09-02
1191 中 싱크탱크, 習 ‘제로 코로나’ 비판... “경제 정체 위....
디지털뉴스팀
22-08-30
1190 美 제재로 경영난 허덕이는 화웨이... "비핵심 업무 전....
디지털뉴스팀
22-08-25
1189 中 ‘대출 완화 · 금리 인하’로 경기 부양 총력
디지털뉴스팀
22-08-24
1188 中 지방정부 재정난... 버스 운행 중단·공무원 급여 체불
디지털뉴스팀
22-08-23
1187 中 금융당국 “디지털 위안화 익명성 NO”
디지털뉴스팀
22-08-16
글쓰기

특별보도

더보기

핫이슈

더보기

많이 본 기사

더보기

SOH TV

더보기

포토여행

더보기

포토영상

더보기

END CCP

더보기

이슈 TV

더보기

꿀古典

더보기
447,066,637

9평 공산당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