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한국 정부의 대대적인 친중공 정책 및 스탠스로, 중국인들이 한국의 각 분야로 빠르게 침투하는 가운데, 최근 한 유튜브 채널에 달린 댓글이 주목 받고 있다. 댓글 작성자는 25년 전 중국어를 전공하고 중국 유학·중국 관련 업무를 이어온 경험을 바탕으로 한국 내 중국 기자들의 실태를 고발했다.
그는 “한국에 중국 기자들이 정말 많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이 거의 없다”며 “한국의 중국 특파원은 TV와 신문을 모두 합쳐도 20명이 안 되지만 중국 기자들은 한국에서 100여 명이 활동 중”이라고 했다.
지난 8일 이에 대해 보도한 ‘트루스데일리’는 “실제로 중국은 신화통신·인민일보·경제일보·과기일보·법제일보·CCTV1·CCTV2·CCTV한국어·인민망 등 주요 국영 언론사 소속 기자들을 대거 한국에 파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반면, 한국 언론의 중국주재특파원 수는 TV와 신문을 모두 합쳐도 20명 남짓에 불과하다. 이는 일본·미국·중국 등 주요 국가 언론의 특파원 규모와 비교해도 매우 적은 수준이다.
댓글 작성자는 “중국 기자들의 주 업무는 한국 내 여론 동향과 기업 정보를 번역해 본국으로 송부하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이들은 국내 정치와 정부기관에 인맥을 쌓아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각종 행사와 간담회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 정보의 양과 질 불평등... 간첩 활동 우려도
실제로 신화통신·인민일보·CCTV 등 중국 국영 언론사 기자들은 한국에서 활발하게 취재 활동을 벌이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얻은 정보는 중국 정부와 기관에 보고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 특파원들은 중국 내에서 언어 장벽과 취재 제한 등으로 인해 정보 접근에 어려움을 겪는다. 반면, 한국에 파견된 중국 기자들은 대부분 한국어에 능통하며 국내 언론·정치·경제계와의 네트워크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이로 인해 정보의 양과 질에서 현저한 불균형이 발생한다.
일각에서는 “한국 내 중국 기자들이 사실상 여론 동향 파악과 정보 수집·번역 송부를 넘어 간첩 활동에 준하는 역할을 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된다. 실제로 중국은 국가정보법을 통해 민간인과 언론인까지 광범위하게 정보 수집에 동원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중국 언론사 위장 사이트·정보 수집 활동 등 다양한 문제점이 꾸준히 지적되어 왔다.
전문가들은 “한국의 대중 정보력 열세는 단순한 언론 문제를 넘어 국가 안보와 경제·외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한국 특파원 확대·언어 교육 강화·정보보호 및 외국기자 관리 시스템 개선 등 종합적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한국 사회가 중국 기자들의 실상을 제대로 인식하고 정보 불균형 해소와 국가적 대응 방안 마련이 시급히 요구된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