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중국을 방문 중인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가 방중 전 홍콩 시위 리더가 요청한 홍콩의 자유 보장 요구를 리커창 총리에게 전달했다.
6일(현지시간) AFP 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이날 전날 대규모 기업 대표단을 이끌고 중국에 도착한 메르켈 총리는 리커창 총리와 만난 뒤 공동기자회견을 열고 “(리커창과의 대화에서) 나는 홍콩 기본법에서 합의한 권리와 자유가 지켜져야 한다는 입장을 전했다”고 밝혔다.
메르켈 총리는 또 “(홍콩 문제는) 폭력이 아닌 정치적 대화로 해결해야 한다”고도 말했다. 슈테펜 자이베르트 독일 총리실 대변인도 메르켈 총리의 해당 발언을 트위터에 공개했다.
독일은 최대 교역국인 중국과 장기간 원만한 관계를 유지해왔지만 최근 중국의 기술 정책에 대한 독일의 불만과 맞물려 홍콩 시위가 격화하면서, 독일과 중국의 관계에 다소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2014년 '우산혁명'의 주역이자 '범죄인 인도법안'(송환법) 반대 시위를 이끌어온 조슈아 웡은 앞서 지난 4일 독일 유명 대중지 빌트(Bild)에 앙겔라 메르켈 총리에게 보내는 공개서한을 게재해 홍콩 민주화 시위 지지를 호소하고 방중시 중국 정부에 시위대의 요구를 전달해줄 것을 요청했다.
조슈아 웡은 또 공개 서한에서 메르켈 총리가 동독 출신인 것을 거론하며 "당신은 독재 정권의 공포를 직접 경험했다”면서 “중국은 국제법을 무시하며 관련된 약속을 반복적으로 어기고 있기 때문에 중국과의 거래시 주의할 것”을 조언했다.
홍콩 수반인 캐리 람 홍콩 행정장관은 송환법 반대 시위 격화를 진정시키기 위해 지난 4일 시위대의 5대 요구안 중 하나인 송환법 철회를 공식 선언했으나 시위대 측은 정부가 모든 요구 사항을 수용할 때까지 투쟁을 계속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홍콩 시위대는 송환법 공식 철회 외에 △경찰의 강경 진압에 관한 독립적 조사 △시위대 '폭도' 규정 철회 △체포된 시위대의 조건 없는 석방 및 불기소 △행정장관 직선제 실시 등을 요구하고 있다.
메르켈 총리의 방중과 관련해 미국도 독일이 중국 인권문제에 목소리를 내줄 것을 촉구했다.
리처드 그리넬 주독일 미국 대사는 5일 “중국 공산당의 홍콩에 대한 압박, 신장 무슬림 탄압 등은 독일이 소중히 여기는 가치에 역행한다”며, 공산주의 몰락 이후 독일을 통일시킨 인권, 민주주의, 법치주의에 대한 확고한 입장을 중국에 보여줄 것을 요구했다.
박정진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