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EOT-대한변협, 국제 심포지엄 도쿄서 공동 개최
[SOH]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의 장기 매매 및 원정 장기이식 문제에 대한 국제 심포지엄이 일본에서 열린다.
한국장기이식윤리협회(KAEOT)는 대한변호사협회, 고려대 국제인권센터와 함께 30일 도쿄대 산조회관에서 ‘장기매매 및 원정 장기이식 문제 대처’에 관한 세미나를 주최한다.
일본 해외 원정 장기이식 조사위원회(TTRA), 일본 SMG 네트워크, 대만 TAICOT도 공동 주최로 참여한다.
이번 세미나는 2008년 장기 매매와 불법 이식을 근절하기 위해 채택된 ‘이스탄불 선언’ 11주년을 맞이해 아시아 각국의 원정 장기 이식 실태를 공유하고 대응책을 모색하기 위해 열린다.
이스탄불 선언은 전 세계를 아우르는 과학자 및 의학자 집단, 정부 관료, 사회과학자, 윤리학자들이 초안을 마련해 세계이식학회 회의에서 통과됐으며 세계 인권 선언에 기초를 두고 있다.
아시아 각국은 문화적 영향으로 장기기증이 구미 국가보다 저조해 이식 대기 시간이 상대적으로 길어지면서, 중국 등 해외에서 불법으로 이식 수술을 받는 사례가 끊이지 않고 있다. 국내에서도 지난해 중국 원정 장기이식 브로커가 징역형을 선고받는 등 관련 범죄가 여전한 상태다.
지난 2016년 데이비드 킬고어 전 캐나다 국무지원장관과 국제인권변호사 데이비드 메이터스, 저널리스트 에단 구트만이 발표한 중국의 강제 장기 적출 최신 보고서(BLOODY HARVEST/ THE SLAUGHTER/ An Update)에 따르면 한국은 대만, 일본과 함께 중국에서 가장 이식 수술을 많이 받는 국가로 꼽혔다.
국제 사회는 중국이 이식 수술에 사용하는 장기의 절대다수가 양심수, 파룬궁 수련인, 위구르인 등으로부터 강제로 적출된 것으로 보고 있다.
2008년 이스탄불 선언 이후 각국은 원정 장기이식 수술의 폐단에 대한 공통 인식을 형성하고 있으며, 원정 장기이식을 금지하기 위한 법안을 속속 마련하고 있다.
한국도 최근 불법적인 원정 장기이식을 예방하기 위한 장기이식 관련 법안이 상정되는 등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이번 세미나에는 한희철 고려대 의대 교수가 '해외 원정 장기이식: 2000년부터 2017년까지의 한국 상황 통계 분석'을 발표하고, 이동현 연세대 의대 연구교수는 '장기 매매, 해외 원정 장기이식, 상업적 장기 이식에 대한 의료정책의 윤리 및 법적 관점', 김송 수원지방법원 판사는 '한국의 장기이식법 - 이스탄불 선언에 따른 개정에 대한 개요, 사례 그리고 제안'을 발표한다.
해외 패널 및 발표자는 대만대 생명의학윤리센터장인 차이푸창 교수를 비롯해 2017년 간디상 수상자인 캐나다 데이비드 메이터스(David Matas) 변호사, 오가와 요시히데 류쿠대 의대 명예교수 등이 참여한다.
KAEOT 이승원 회장은 “한국에서 중국의 강제 장기 적출 실상을 다룬 다큐멘터리를 전국의 대학교와 지역사회에서 100여회 상영하고 30만 명 이상의 한국인이 불법 장기 이식을 근절하는 서명에 동참하는 등, 장기 이식 범죄를 근절하기 위한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면서, “이번 세미나를 통해 국제사회가 공조를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라고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한국의 휴먼아시아(Human Asia), TV조선 탐사보도7, 대만대학교 생명윤리센터 등이 후원한다. / IAEOT
세미나 참가 문의 일본: TTRA(전화-050-5360-2345, 이메일-info@stop-oh.org)
한국: KAEOT(이메일 kaeot@naver.com)
편집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