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구글이 중국 샤오미의 모든 전자제품을 구글 사물인터넷(IoT) 플랫폼에서 차단했다. 이유는 보안 위협이다.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초연결(hyperconnectivity)’ 시대가 도래하면서 보안의 중요성이 대두되는 가운데, 중국 제품들이 보안을 위협한다는 우려가 이어지고 있다.
이번 차단은 1일(현지시간) 네덜란드인 이용자 ‘DIO-V’가 미국 온라인 커뮤니티 ‘레딧’에 올린 글이 계기가 됐다. “구글 홈 허브에서 샤오미 미지아 1080p 스마트 IP 카메라를 실행했더니 다른 사람 집 내부가 보였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이날은 공교롭게도 샤오미가 향후 5년간 IoT에 5억위안(한화 약 8조3000억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힌 날이었다.
이에 관해 샤오미 측은 외신을 통해 지난달 26일 캐시 업데이트로 인한 이슈로 판명됐다면서 취약점은 해결했지만 근본 원인을 해결할 때까지 서비스를 중단하겠다고 밝혔다.
중국은 ICT 산업을 국가 주도로 빠르게 육성 중이지만 통신장비 업체 화웨이를 비롯한 다양한 제품들이 각국의 보안을 위협한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대표적인 예는 화웨이다. 미국은 화웨이가 이동통신망에 ‘백도어’를 심어 기밀정보를 유출하고 관련 정보를 중국 정부에 제공하는 것을 우려해왔다.
화웨이를 설립한 런정페이 회장은 중국 인민해방군 장교 출신으로 중국 정부와 밀접한 관계인 것으로 알려졌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초 화웨이 제품 사용금지 행정명령에 서명했고, 미 상무부는 화웨이와 68개 계열사를 거래금지 리스트에 올리기도 했다. 동맹국들에 화웨이 제재 동참도 촉구해왔다.
미 행정부를 중심으로 ‘화웨이 퇴출’ 움직임이 일자 세계는 화웨이 장비를 사용하는 국가와 아닌 국가로 나뉘게 됐다.
한국, 영국, 프랑스, 독일, 러시아, 브라질, 인도 등은 화웨이 장비를 사용한다. 사용하지 않는 나라는 미국, 이탈리아, 일본, 호주, 뉴질랜드 등이다.
월스트리트저널 등 외신에 따르면 미 육군, 해군, 해병대, 공군, 해경 등은 정부 지급 기기에 중국의 동영상 앱 ‘틱톡’을 설치하는 것을 금지했다.
일부 부대에서는 개인용 기기에도 설치하지 말 것을 권한 것으로 전해졌다.
틱톡 금지 조치는 틱톡으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있는 중국 바이트댄스가 중국 정부에게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것이 이유였다.
우리나라에서도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송희경 자유한국당 의원이 틱톡의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을 제기하자 방송통신위원회가 지난달 미성년자 개인정보 유출 의혹에 관한 검토에 착수한 바 있다.
하지성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