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호주에서 재앙급 산불이 다섯 달째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호주 시민들이 정부에 대해 산불 대처를 촉구하고 나섰다.
10일(현지시간) ABC방송 등 호주 언론에 따르면 이날 오후 오후 5시 30분 시드니 시청 앞에서 산불 대처를 촉구하는 기후변화 시위가 열렸다.
이번 시위에는 시민 약3만명이 참석해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의 무능한 산불 대처를 비난하고 지구 온난화와 기후 변화에 대한 정부의 신속한 대처를 촉구했다.
모리슨 총리는 지난 연말 하와이로 휴가를 다녀온 사실이 알려지면서 산불 피해지역 주민을 중심으로 거센 비난을 받았다.
시민들은 ‘나라가 불타고 있다’, ‘스콧 모리슨 총리를 파면하라’ 등의 구호를 외치며 약 8시까지 도심을 행진한 뒤 8시경 자발적으로 해산했다.
산불은 퀸즐랜드주와 뉴사우스웨일스주(NSW)에서 지난해 9월 첫 째주 100여건의 화재가 발생한 뒤로 5개월째 산불이 이어져 서울 면적의 약 100배인 600만㏊(핵타르)가 잿더미로 변했다.
이로 인해 현재까지 최소 27명과 야생동물 약 10억마리가 목숨을 잃었으며, 막대한 재산 및 환경피해가 발생하는 등 최악의 자연재해를 겪고 있다.
산불이 꺼지지 않는 자연적 이유로는 폭염, 가뭄, 돌풍이 꼽힌다. 본래 호주는 세계에서 가장 건조한 대륙 중 하나로 연평균 강우량이 600㎜ 미만이다.
호주에서 매해 산불이 반복됐지만, 역대 최악의 이상 고온과 건조 현상은 산불을 극대화하는 조건을 만들었다. 동시에 산불에서 배출되는 다량의 이산화탄소로 기후 위기의 악순환도 우려되고 있다.
호주 환경운동가들은 지구 온난화도 산불을 부추겼다며 정부에 석탄 채굴을 줄여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호주는 전 세계 석탄 수출의 3분의 1을 차지한다.
하지만 석탄 산업을 옹호하는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는 일자리 축소 등 경기 후퇴를 우려하며 이러한 요구를 일축해, 초유의 비상사태 속에서도 기후 위기에 대한 안일한 인식을 드러냈다.
구본석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