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이탈리아에서 코로나19(우한폐렴)에 의한 사망자가 하루 사이 800명을 육박한 가운데, 정부가 비필수 사업의 운영을 당분간 중단하기로 했다.
21일(현지시간) ANSA통신 등에 따르면 이탈리아 정부는 우한폐렴 확산을 막기 위해 필수적인 공공서비스를 제외한 전국의 모든 비필수 사업체의 운영을 중단시키겠다고 밝혔다.
주세페 콘테 총리는 이날 대국민 연설을 통해 국가 공급망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일부 사업을 제외한 모든 사업장을 다음달 3일까지 2주 동안 폐쇄하겠다고 밝혔다.
콘테 총리는 현재 이탈리아의 상황을 “세계대전 이후 가장 중대한 위기”라고 표현했다.
이에 따라 이 기간 동안에는 슈퍼마켓, 약국, 우편과 은행, 교통 등 필수 공공서비스만 운영될 예정이다.
이날 이탈리아에서는 우한폐렴에 따른 신규 확진자가 6,500명, 사망자가 800명 발생해, 누적 확진자는 5만3000명, 사망자는 4800명 이상으로 집계됐다.
이탈리아에서 가장 많은 사망자가 발생한 북부 롬바르디아주는 병원 영안실도 모자라 성당까지 관이 들어찼다.
화장장을 하루 종일 가동해도 넘쳐나는 시신을 감당하지 못해 군용차량이 다른 지역으로 관을 옮기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은 이탈리아 내 우한폐렴이 북부에 비해 의료시스템이 갖춰지지 않은 남부로 감염이 확산될 경우 걷잡을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지난 8일부터 시작된 봉쇄령이 장기화되면서 이탈리아발 경제위기가 유럽 전역으로 확산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이탈리아는 세계 8위, 유로존 3위의 경제 대국이다. 하지만 코로나19 사태가 본격화되기 전부터 경제 상황은 좋지 않았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정부 부채 비율은 130%를 넘어서 유럽에서는 그리스에 이어 두 번째로 높다.
은행 자산의 약 4분의 1이 국채라서 정부 재정이 악화되면 심각한 유동성 위기에 몰릴 수 있다. 따라서 이탈리아 국채를 많이 가지고 있는 프랑스와 스페인, 벨기에 등으로 경제위기가 번질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특히 GDP의 13%를 차지하는 관광산업이 코로나19로 멈춰서면서 타격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올해 이탈리아 경제성장률을 마이너스 0.6%로 전망했다. 또 공공부채는 연말까지 GDP 대비 137%, 재정적자는 GDP의 2.6%까지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 경향신문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