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중국이 우한폐렴(코로나19) 팬데믹 책임 회피로 국제적 신용이 크게 추락하면서 각국이 탈중국을 추진 중인 가운데 영국도 이 대열에 합류했다.
21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더타임스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영국 정부는 주요 의약용품을 비롯한 전략물자에 대한 중국 의존도를 낮출 계획이다. 특정 물품 공급에서 과도한 해외 의존을 국가 안보 사안으로 판단한 것이다.
이번 계획은 ‘프로젝트 디펜드(Project Defend)’로 명명됐으며, 코로나19 사태 이후 경제 계획 수립을 위해 도미닉 라브 외교부 장관 주도로 최소 2개 정부 부처가 참여할 예정이다.
프로젝트 디펜드는 미국이 필수 의약품과 반도체를 포함한 첨단 제품의 중국 의존도를 낮추는 움직임과 궤를 같이하는 것으로 보인다.
정부 관계자는 이번 계획에 대해 ”코로나19 사태로 필수 제품의 탄력적 공급망 구축이 매우 중요함을 알게 됐다“며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또 다른 위기 상황 대처를 위해 다양한 공급망 구축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각 정부 부처는 잠재적 적대 국가의 위협에 취약한 주요 경제 분야를 구체적으로 정리할 방침이다.
제약사 등 주요 제조업의 본국 송환, 외국 부품 의존도가 높은 핵심 사업 공급망에 대한 점검 등이 포함된다.
보도에 따르면 영국은 71개의 핵심 분야를 중국 공급망에 의존하고 있다. 특히 영국은 의약품에서 진통제와 항생제, 항바이러스제 생산을 위한 활성원료의 경우 순수 수입국으로서 중국에 수입물량의 50%를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 정부의 이번 조치는 코로나19 사태에서 보여준 중국의 행태에 세계적인 비판이 가중되는 가운데 나왔다.
기타 유럽 국가들도 중국에 대한 경계를 강화하고 있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는 지난 18일 유럽연합(EU)에 의약품에 대한 해외 의존도를 줄이고 주권을 강화할 것을 촉구했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