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미국 뉴욕시가 10대들의 소셜미디어 사용을 ‘공중보건 위험(public health crisis hazard, environmental toxin)’으로 분류했다고 ‘워싱턴포스트(WP)’ 등이 24일(이하 현지시간) 보도했다.
뉴욕시 보건 당국은 최근 공식 성명을 통해 어린이 및 청소년의 소셜미디어 사용을 공중보건 위험으로 선언하고 이들을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대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에서는 청소년 중 최대 95%가 소셜미디어를 통해 친구들과 소통하고 관심사를 접하며 트랜드 등을 공유한다.
그러나 과도한 사용, 정보 등으로 타인과의 지나친 비교, 사이버 괴롭힘, 우울 등으로 정서적 피해를 겪는 경우가 많다.
또한 수시로 유행하는 챌린지로 목숨을 잃거나 자살 충동을 겪는 부작용도 적지 않아 심각한 사회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소셜미디어와 연결 되는 전례 없는 정신건강 위기로 플랫폼의 사용과 이로 인해 형성될 수 있는 중독 습관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상황이다.
보건 당국이 발표한 뉴욕시 청소년 정신건강 실태 조사에 따르면 지난 2021년 기준 뉴욕시 고등학생들이 절망감을 느끼는 비율은 10년 전인 2011년보다 42%증가했으며, 자살을 생각해 본 적이 있다는 비율은 34% 증가했다.
뉴욕시 보건 자문위원회는 “시 고등학생 77%가 숙제가 아닌 용도로 하루에 3시간 이상 컴퓨터나 태블릿 PC를 사용하는 것으로 집계됐다”면서 “SNS 사용이 길어질수록 학생들의 정신 건강은 나빠지는 상관관계가 있다”고 우려했다.
아쉬 바산 뉴욕시 보건국장은 이날 공식 성명을 통해 “어린이 및 청소년 소셜미디어 사용이 공중보건 위험임을 선언하고 이로부터 청소년들을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퓨리서치 센터에 따르면 13∼17세 청소년의 95%가 소셜미디어 플랫폼을 사용하고 있으며, 3분의 1 이상은 “거의 지속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센터는 청소년들의 소셜미디어 사용에 관한 42건의 연구를 검토한 결과 “소셜미디어 사용과 수면의 질 저하, 수면 시간 감소, 수면 장애 및 청소년 우울증 간에 일관된 관계가 있다”고도 전했다.
뉴욕시의 이번 조치는 미국내 주요 도시 중 최초다. 시는 △부모와 보호자에게 자녀가 적어도 14세가 될 때까지 스마트폰이나 소셜 미디어에 접근하는 것을 연기할 것을 촉구하고 △대면 대화 촉진을 위한 SNS의 이용 시간의 상한을 마련하는 등을 보호자나 학교 관계자에게 요구하는 권고도 발표했다.
아울러 시는 연방 및 주 정책 입안자들에게 “소셜 미디어 회사의 약탈 행위(predatory practices by social media companies)”로부터 청소년을 보호하는 입법 제안을 확대할 것을 촉구했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