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칠레 정부가 저가 공세로 자국 시장을 위협하는 중국산 철강에 대해 최대 33.5%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키로 했다.
외신에 따르면 칠레 가격왜곡방지위원회(Comision Antidistorsiones)는 중국산 철근에 최대 24.9%, 단조용 강구(공 형태로 둥글게 말아놓은 강철)에 최대 33.5%의 잠정 관세를 각각 매겼다고 22일(이하 현지시간) 밝혔다. 관세 부과 방침은 오는 9월까지 6개월간 유지된다.
이번 조치는 칠레 최대 철강 회사인 CAP 등의 요구를 수용한 데 따른 것이다. CAP는 3월 중국산 철강의 저가 공세에 심각한 ‘출혈 경쟁’에 시달려 비오비오주(州) 우아치파토에 위치한 공장의 조업을 중단하겠다고 밝혔다.
비오비오 주정부와 지역 근로자들은 “중국산 철강의 관세를 북미와 유럽 수준으로 인상하면 공장을 계속 가동해 최대 2만 2000개의 일자리를 보호할 수 있다”며 연방정부의 결단을 촉구했다. 이에 이번 관세 부과 조치가 이뤄졌고 이날 CAP는 공장 조업 중단 결정을 철회했다.
주칠레 한국대사관 등에 따르면 우아치파토 공장은 현재 현대건설에서 수행하는 차카오 교량 공사에도 자재를 납품 중이어서, 자칫 관련 사업에 차질이 예상되는 상황이었다.
앞서 칠레 정부는 2016년부터 중국산 철강 제품에 대한 반덤핑 관세를 6차례 부과한 바 있다. 하지만 중국 정부의 보조금 정책 아래 저렴한 가격의 철강 제품이 칠레로 대량 수입되면서 자국 기업들이 고사 위기에 처하자 보다 강력한 대응이 필요하다는 요구가 커졌다.
칠레 정부의 이번 결정은 중남미 경제권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멕시코, 브라질, 아르헨티나, 콜롬비아 등 역시 중국산 저가 철강 홍수로 큰 피해를 입고 있다.
라틴아메리카 철강협회에 따르면 역내 철강 시장에서 중국산의 점유율은 2000년 15%대에서 지난해 54%로 껑충 뛰었다.
멕시코 정부는 지난해 8월 수입 철강 관세를 기습적으로 25%까지 인상했는데, 이 역시 중국산 저가 철강으로부터 자국 시장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로 분석된다.
앞서 미국에서도 조 바이든 대통령이 지난 17일 중국의 불공정한 통상 관행을 지적하며 "중국산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관세를 3배로 올릴 것을 고려하라"고 미국 무역대표부(USTR)에 지시했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