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09.23(화)
페이스북 바로가기 트위터 바로가기
  • 중국

  • 국제/국내

  • 특집

  • 기획

  • 연재

  • 미디어/방송

  • 션윈예술단

  • 참여마당

  • 전체기사

검색어 입력

유럽, “성소수자 美 입국 주의”... “성별 기재, 남·녀만 인정”

디지털뉴스팀  |  2025-03-27
인쇄하기-새창



[SOH] 유럽에서 미국을 방문 예정인 성소수자(LGBTQX)들이 미 입국 시 성별 표시에 주의하라는 권고가 나왔다. 

‘AP통신’ 22일(현지시간) 보도에 따르면 덴마크 외무부는 전날 미국에 대한 여행 권고 사항을 업데이트해 “미국 전자여행허가(ESTA)나 비자를 신청할 때는 성별(젠더)을 남성과 여성 중에서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면서 ”여권에 성별 지정이 엑스(X)로 돼 있거나 성별을 바꾼 적이 있다면 여행 전 미국 대사관에 연락해 절차에 대한 안내를 받으라“고 권고했다.

독일 외무부도 이달 초 "성별 항목에 X를 표기했거나 출생 시 성별과 현재 성별 표기가 다른 사람은 미국 입국 전에 독일 내 미국 공관에 연락해 해당하는 표기 요건을 파악하라"고 권고했다.

핀란드 외무부 역시 홈페이지에서 미국을 방문하려는 자국민에게 "여권에 기록된 현재 성별이 출생 시 성별과 다르면 미국 당국이 입국을 거부할 수도 있다"며 "입국 요건을 사전에 미국 당국과 확인하라“고 안내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는 강력한 반(反)성소수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트럼프 정부 출범 후 미 국무부는 여권 성별 표시에서 'X' 선택지를 삭제했다.

서구 주요국들은 지난 수년 간 성소수 지지 정책을 적극 펼쳐왔다. 미국의 경우 민주당 소속 버락 오바마 이래 조 바이든 정부 시절까지 대대적으로 추진됐다.

바이든 정부 시절 성소수자는 ‘레즈비언·게이·양성애자·성전환자’를 넘어 아예 성별 구분을 거부하는 ‘미정’(Q)을 넘어 (그때그때 다른) 가변적 성별 ‘X’까지 인정받아 여권 등 공식 문서에 쓰였으나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폐지됐다.   / 연합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관련기사
  목록  
글쓰기
번호
제목 이름 날짜
2938 스콧 페리 美 하원의원... 상원에 ‘파룬궁 보호법’ 통과....
디지털뉴스팀
25-06-21
2937 美 유학생 비자 발급 재개... SNS 공개 “의무”
디지털뉴스팀
25-06-20
2936 상하이 거주 美 억만장자... 美 시위·폭동 자금 지원 의혹..
디지털뉴스팀
25-06-17
2935 中 연구원들 ‘곰팡이·기생충’ 美 밀반입 시도... 생물학....
디지털뉴스팀
25-06-16
2934 ‘印 ’242명 탑승’ 여객기 추락... 생존자 1명
디지털뉴스팀
25-06-13
2933 미중, WHO 놓고 입장 대립... “모두 탈퇴” vs “7000억 ....
디지털뉴스팀
25-06-10
2932 美 재무부, 한국 환율관찰대상국 재지정
디지털뉴스팀
25-06-10
2931 美, 9일부터 입국 금지·제한 시행... 총 19개국
하지성 기자
25-06-07
2930 OECD “올해 韓 성장률 1.0%”... 3달 만에 또↓
디지털뉴스팀
25-06-07
2929 美, 철강·알루미늄 관세 25%→50%↑... 韓 철강업계 비상
한상진 기자
25-06-06
글쓰기

특별보도

더보기

핫이슈

더보기

많이 본 기사

더보기

SOH TV

더보기

포토여행

더보기

포토영상

더보기

END CCP

더보기

이슈 TV

더보기

꿀古典

더보기
452,242,561

9평 공산당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