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세계 최대 검색 사이트 구글이 미중 간 인터넷 싸움을 피해 중국 내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을 포기하기로 했다.
중국의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 시행으로 중국과의 갈등이 깊어지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는 미국 내 중국산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사용 금지 의지를 재차 밝혔다.
이에 대해 홍콩 정부도 강력한 인터넷 검열 규정을 만들어 미국의 SNS를 통한 ‘홍콩 독립’ 주장을 차단하기로 했다.
8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미국은 (중국) 특정 기업이 아닌 국가안보에 초점을 맞춘다”며 “이번 주초 일부 업체를 직접 언급한 것은 중국 공산당의 위협을 평가하는 맥락에서 나온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폼페이오 장관은 지난 6일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미국에서 틱톡 등 중국 SNS 사용을 금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면서 “미국인의 개인정보나 건강 기록에 대한 중국 공산당의 접근을 막기 위해서”라고 밝혔다.
그간 미 의회는 공화당을 중심으로 “틱톡이 중국 공산당의 정보 수집 업무에 협력할 수 있어 국가안보를 위협할 수 있다”고 주장해왔다. 이날 브리핑은 이틀 전 자신의 언론 인터뷰를 재확인한 것이다.
이번 조치는 중국의 홍콩 국가보안법(이하 홍콩보안법) 강행에 대한 보복으로 풀이된다.
이를 반영하듯 폼페이오 장관은 “베이징은 50년간 홍콩 주민에게 고도의 자치를 주기로 약속했다. 하지만 여러분은 불과 23년 만에 홍콩에서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직접 봤다. 공허한 약속이었다”고 비판했다.
중국도 맞대응에 나섰다. 홍콩 국가안보위원회는 홍콩보안법 시행을 위한 7가지 규정을 제정했다. 이에 따라 경찰은 개인이나 인터넷서비스제공업체(ISP)에 국가안보에 위협이 된다고 판단허는 콘텐츠 삭제를 요구할 수 있다.
홍콩보안법 시행으로 현지에서는 그동안 홍콩인들이 누려온 인터넷 자유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홍콩 민주화 시위를 주도한 정치단체와 운동가들도 SNS 사용을 중단하고 있다.
미국과 중국의 인터넷 싸움에 대해 구글은 진행 중인 중국 내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을 포기했다.
블룸버그통신은 “구글이 지난 5월 중국 등 정치적으로 민감한 지역에서 추진하려던 ‘아이솔레이티드 리전’을 중단했다”고 8일 보도했다.
구글은 자사 직원들과 미 정부의 비난에도 중국 내 시장 가능성을 포기하지 못하고 중국 당국의 입맛에 맞춰 검열 등이 가능한 별도의 서비스를 내놓을 계획이었지만 미 정부가 이를 두고 보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자 사업 자체를 철회한 것으로 보인다. / 서울신문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