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미국 정부가 중국에 본사를 둔 동영상 공유앱 틱톡(TikTok·중국명 더우인) 사용금지를 추진 중인 가운데, 중국에서는 틱톡 이용자의 개인정보가 언제든 당국에 의해 수집될 수 있다는 증언이 나왔다.
미국 테크놀로지 리포터 커트 크너트슨 (Kurt Knutsson)은 최근 방송 프로그램 ‘Fox & Friends Weekend Edition’과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중국 공산당 정권(이하 중공)이 틱톡의 미성년자 개인정보에 접근하는 것을 막을 수 없다”고 말했다.
크너트슨은 “중공은 2017년 사이버 보안법을 제정해 자국 내 모든 테크놀로지 기업의 데이터에 자유롭게 접근하고 있다. 따라서 중국에서는 틱톡에 대한 당국의 접근을 막을 수 없다. 이용자들은 개인정보가 언제든 유출될 위험에 처해 있다”고 지적했다.
미 정부는 틱톡 운영사인 바이트댄스가 중국 베이징(北京)에 본사를 두고 있어 미국인 개인정보를 중국에 넘겨 국가안보에 해를 끼칠 수 있다는 이유로 자국 내 틱톡 사용금지를 추진 중이다.
이와 관련해 마이크로소프트(MS)는 틱톡의 미국 사업 인수 협상에 나섰다.
2일(현지시간) AP통신, CNN 등 외신에 따르면 사티아 나델라 MS 최고경영자(CEO)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만난 후 공식블로그 성명을 통해 틱톡의 미국 사업 인수 계획을 확인하고 관련 협상을 늦어도 9월 15일까지 마무리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이르면 이달부터 미국에서 틱톡 사용을 금지하겠다고 밝혔고,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부 장관도 수일 내에 관련 조치가 나올 것을 예고한 바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MS가 틱톡의 운영사인 바이트댄스와 인수 협상을 벌이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지만, 백악관이 제동을 걸면서 협상 무산 가능성도 제기됐다.
이런 가운데 MS의 틱톡 인수가 다시 허용된 것은, 바이트댄스가 틱톡의 미국 사업 지분을 전량 매각한다면, 최소한 미국인 사용자들의 정보가 중국 당국으로 넘어갈 수 있다는 우려에서는 벗어날 수 있다는 트럼프 행정부의 판단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바이트댄스와 MS의 틱톡 인수 협상은 미국 외국인투자심의위원회(CFIUS) 감독하에 이뤄질 예정이다. CFIUS는 양측간 합의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할 경우 이를 저지할 수 있다.
MS는 틱톡 인수 재추진과 관련해 “대통령의 우려를 해소하는 것의 중요성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다”며 “틱톡 인수에 있어 미국 재무부 등에서 안보 심사를 완전하게 받을 것이며 미국에 제대로 된 경제적 이익을 제공하겠다고 약속한다”고 설명했다.
MS는 미국뿐만 아니라 캐나다·호주·뉴질랜드에서 틱톡 사업을 인수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미국 내 다른 투자자들도 인수 협상에 공동 참여할 수 있다.
틱톡은 15초 안팎의 짧은 영상을 제작해 공유하는 앱으로 주로 10∼20대 사이에서 인기가 많다. 전 세계 사용자 수는 20억명 이상이다.
미 정부는 국가안보 보호를 이유로 틱톡 외 자국 내에서 사용 중인 다른 중국앱에 대한 사용금지도 추진 중이다.
한지연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