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미국의 명문대학들이 러시아와 중국 등 ‘적성국가’로부터 받은 자금을 대규모로 축소 보고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20일(현지시간) AP통신 등이 미 교육부 보고서를 인용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미국 교육부는 25만 달러(한화 약 2억8천만원) 이상 외국 선물이나 계약을 공개하도록 한 법률에 따라 하버드대, 예일대, 스탠퍼드대 등 12개 대학의 해외 자금을 조사했다.
그 결과 대부분 대학이 미국 정부가 국가 안보를 이유로 제재한 중국 통신장비업체 화웨이와 금융거래를 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중국 공산당과 직접 관계를 맺고 있는 대학도 최소 1곳 발견됐다.
다른 대학들은 러시아, 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 등과 거래했지만 교육부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조사에 따르면 대학들은 외국 기부자의 이름 등 세부 사항을 일부 은폐하거나 대규모 축소 보고했다.
스탠퍼드대는 2010년 이후 중국인 등 외국인으로부터 6천400만 달러(한화 약 726억원)를기부 받았지만 기부자의 이름을 익명 처리했다. 예일대와 케이스웨스턴리저브대도 지난 수년 간 외국인 기부자를 공개하지 않았다.
이번 보고서는 그 동안 연방정부가 미국의 경쟁국들이 점점 더 많이 미국 대학과 연구소를 타깃으로 학문과 기술정보를 훔쳐가려 한다고 경고한 것에 부응하는 내용이 담겼다. 특히 미국 대학에서 일하면서 중국 정부를 위해서도 일하는 중국 국적자들이 단속에서 적발된 경우도 많았다고 지적했다.
교육부의 조사는 트럼프 행정부가 해외로부터의 지적 재산권 도용 및 산업스파이 방지를 강화하는 가운데 진행됐다.
교육부는 이번 조사가 투명성 제고를 위한 것이지, 특정 대학의 재정지원의 적절성을 따지기 위한 것은 아니라고 밝혔지만, 앞으로는 특정 연구기관과 대학에 대해서는 법적단속도 법무부와 협의해서 진행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벳시 디보스(Betsy DeVos) 교육부 장관은 대학들이 대체로 "조사에 불응하거나 불복하는 경향이 있었다"면서 수 십년간 이 문제에 대한 단속이 없었지만 앞으로는 달라질 것이라고 밝혔다.
이연화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