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서울시가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의 재확산 방지를 위해 13일부터 ‘대중교통 이용 시 생활 속 거리두기를 준수하기 위한 방안’ 시행에 들어갔다.
이번 시행에 따라 ‘지하철 혼잡도(승차정원 대비 탑승객 수)’가 150% 이상, 즉 열차 안에서 이동이 어려운 ‘혼잡 단계’일 경우, 마스크 착용을 요청하는 안내방송을 내보내고 역무원이 마스크 미착용 승객의 지하철 개찰구 진입을 제한한다.
서울시는 이러한 마스크 미착용자 탑승 제한을 위해 지하철 여객운송약관 중 승차거부 규정(불쾌감이나 위험 등의 피해를 주는 경우 등)에 감염병 예방을 위한 마스크 착용을 추가할 방침이다.
마스크를 갖고 오지 않은 승객은 역사 내 자판기, 통합판매점, 편의점 등에서 덴탈마스크를 시중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다.
서울시는 출퇴근 시간 지하철 혼잡도를 낮추기 위해 전동차도 추가 투입한다.
혼잡도가 높은 2·4·7호선은 운행편수를 늘리고 나머지 노선에는 비상대기 열차를 배치해 혼잡상황 발생 시 즉시 투입한다. 특히 혼잡도가 높은 2호선에는 혼잡시간대에 열차자동운전장치를 갖춘 전동차 12편성을 집중 배치한다.
버스의 경우 감회 운행을 중단하고 13일부터 차량을 정상 배치해 운행한다. 혼잡도에 따라 배차간격을 탄력적으로 조정하거나 예비 버스를 추가 투입한다.
서울시가 교통카드 데이터로 지하철과 시내버스 혼잡도를 분석한 결과, 현재 혼잡도는 코로나19 발생 이전의 약 80~90% 수준으로 추정되며 이용객 수가 점차 늘면서 혼잡도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서울시 관계자는 이번 시행에 대해 “미이행 시 과태료 부과 등 제재를 가하는 게 아니라 ‘강력 권고’에 해당한다”며, 시민들의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했다.
도현준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