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중공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률 80%를 달성한 지난 달 1일 이후 한 달간 신규 위중증 환자 두 명 중 한 명은 백신을 2차까지 맞은 것으로 나타나 제대로 된 방역체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17일 ‘중앙일보’에 따르면 질병관리청은 전날 허은아 국민의힘 의원에게 제출한 ‘코로나 위중증 예방접종력 및 발생현황’ 통계를 제출했다.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31일 기준 전국의 누적 코로나 위중증 환자는 모두 1만1916명이었다. 이 가운데 2차 백신 접종까지 완료한 사람은 2385명, 부스터샷(3차 접종)까지 맞은 사람은 23명이었다.
질병청은 해당 통계에서 백신 2·3차 접종 완료자를 ‘백신 접종자’로, 접종 이력이 전혀 없거나 1차 접종만 마친 경우를 백신 ‘미접종군’으로 분류했다.
이 통계에서 눈에 띄는 지점은 ‘백신 접종률 80%’ 달성 이후 위중증 환자 수치다.
지난달 1일부터 한 달간 위중증 환자 통계에 따르면 해당 기간 위중증 환자 2590명 가운데 1147명(2차 완료 1125명, 3차 완료 22명)은 백신 접종자(44.3%), 1443명은 미접종자(55.7%)였다.
결과적으로 위중증 환자 2.3명 중 1명은 백신 접종을 완료한 뒤에도 돌파 감염을 통해 위중한 상태에 처했다.
이에 대해 야권에서는 “백신접종자의 중증화율(확진자 중 위중증 환자 비율)이 예상보다 높다”고 지적했다.
허은아 의원은 “정부는 방역패스(접종증명·음성확인제)라는 명목으로 미접종자의 일상을 철저히 고립시키는 부작용을 초래하면서도 막상 접종자 또한 위중증으로부터 지켜내지도 못했다”고 꼬집었다.
허 의원은 무리한 방역정책을 강요하기 보다 보다 정밀한 과학적 방역체계 점검이 필요하다고도 주장했다.
정부는 코로나 변이 확산을 억제하고 중증화율을 낮추기 위한 방안으로 백신 추가 접종을 강력하게 권고하고 있다.
각종 시설에 도입한 ‘방역패스’ 제도 역시 백신 접종률을 높이기 위한 정책의 일환이다.
그러나 백신 접종 후 발생하는 중증 이상반응이나 사망 등 부작용에 대한 인과성 인정 및 보상은 사실상 미비한 실정이어서 국민의 불안감은 커지고 있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