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정부가 임신부에 대한 방역패스(접종증명·음성확인제) 적용을 유지하기로 한 데 대해, 백신이 태아에게 부작용을 끼칠지 알 수 없는 상황에서 정부가 방역패스 적용으로 백신을 강제하고 있다는 반발이 일고 있다.
앞서 정부가 방역패스 예외대상을 확대하기로 하면서 일각에선 임신부가 예외대상에 포함될 것이라는 기대가 나왔으나 정부는 임신부에게 방역패스를 그대로 적용하기로 결정했다.
임신부는 중공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고위험군으로, 확진시 위중증률이 높아 오히려 접종 권고 대상이라는 이유에서다.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 제2부본부장은 지난 20일 정례브리핑에서 "임신부는 임신하지 않은 가임기 여성에 비해 코로나19 감염 시 위중증률이 9배나 더 높다"며 "국외 연구 결과를 보면 코로나19 확진 임신부에게 조산 또는 저체중아 분만 위험이 증가한다"고 설명했다.
대다수 시민들은 질병청의 결정을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이다. 특히 임신부들의 반발은 더 거세다. 태아의 안전을 위해 감기약 복용은 물론 피부에 바르는 연고까지도 조심해야 하는 입장이기 때문.
‘파이낸스투데이’는 “임신부가 코로나 고위험군이고 임신을 하지 않은 가임기 여성에 비해 코로나 감염시 위중증률이 현저히 높다는 질병청의 주장은 임상시험을 거쳐서 학계에서 인정을 받은 공식적인 결과가 아니다”라고 꼬집었다.
임신 중이라고 밝힌 한 네티즌은 “접종 후 부작용이 생겨도 정부가 책임질 가능성은 거의 없는 데 모든 위험 부담을 떠안고 백신을 맞아야 하는 것인가”라고 토로했다.
대부분의 임신부들은 백신을 맞을 경우 태아에게 미칠 영향을 우려해 접종을 꺼리는 입장을 정부가 전혀 고려치 않는다는 지적이다.
매체는 “백신 자체가 임상시험이 끝나지 않은 긴급승인 물질인데도 이를 취약 계층인 임신부에게 강요하는 것은 전혀 납득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최근 국방부에서 발생한 49명 접종자 중 48명이 돌파 감염된 사례를 언급하며 백신의 효과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23일 국내 매체들에 따르면, 이날 군 내 코로나19 확진자가 49명 증가했다.
국방부는 이날 오전 10시 기준 "군내 코로나19 추가 확진자는 49명이며, 누적 확진자는 3918명"이라고 밝혔다.
추가 확진자는 육군 33명(간부 10, 병사 20, 생도 2, 훈련병 1), 해병대 병사 2명, 공군 12명(병사 3, 훈련병 9), 국직부대 2명(군무원 1, 공무직근로자 1)이다.
신규 확진자 49명 중 48명은 백신 접종을 완료한 지 2주가 지난 이후 감염이 확인된 돌파감염 사례다. 이로써 군 누적 돌파감염자는 2076명(53%)이 됐다.
누적 확진자 3918명 중 치료 및 관리 중인 환자는 382명이다.
한지연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