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전 국민의 약 90%가 2차 접종을 완료했음에도 중공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일일 신규 확진자가 10만 명을 앞두고 있는 데 대해 ‘백신 불신’이 커지고 있다.
17일 중앙방역대책본부(이하 중대본)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9만3135명이며, 누적 확진자 수는 164만5978명이다. 누적 위중증 환자는 389명, 누적 사망자는 7238명이다.
정부는 현재의 추세가 이어진다면 3월 초 일일 신규 확진자 30만 명에 달해 4월 이전 1000만 명을 넘길 수도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일부 전문가들은 실제 확진자 수는 정부가 파악한 숫자의 두 배에 이를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헤럴드경제’는 “이스라엘과 미국 등에서 전체 인구의 약 70~80%가 코로나19에 걸려야 감소추세로 돌아선 사례를 볼 때 한국의 감소추세 시기를 4~5월로 전망하고 있다”고 전했다.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다음 주 15만~20만명, 3월 초반에 30만명 이상을 보이면서 정점을 찍지 않을까 예상한다”며 “물론 이는 정부에서 체크한 숫자고 실제 확진자는 이것의 두배로 볼 수 있다”고 진단했다.
천 교수는 외국 사례와 연구를 볼 때 전 국민의 70~80%가 확진이 된 후에야 완만하게 꺾일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가 집단방역을 강조하며 백신접종을 강행했지만 전국민의 86%가 2차 백신을 완료 했음에도 확진자가 급증하는 상황에 대해, 백신패스(접종증명·음성확인제)에 대한 불만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전체 인구 대비 코로나19 백신 2차 접종률은 86%에 달하며, 3차 접종률도 58%에 이른다.
정부는 이런 상황에서도 확진자가 급증하는 데 대해 방역패스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이다.
손영래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전날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중증·사망을 최소화하려는 정책적 목표 달성을 위한 비용 효과성을 고려할 때, 방역패스는 거리두기보다 좀 더 유지할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고 밝혔다. / 헤럴드경제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