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국내에서 중공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사용량이 크게 줄면서 폐기되거나 재고로 쌓이는 백신이 적지 않은 가운데, 올해 1억2594만 회분이 더 도입될 수 있어 국고 낭비 논란이 일 것으로 보인다.
8일 ‘동아일보’에 따르면, 한때 136만 회분까지 늘었던 국내 하루 백신 사용량은 최근 2만 건 안팎까지 줄었다. 이로 인해 올해 지난달 22일까지 64만 회분이 폐기됐으며, 아직 사용하지 못한 백신도 1700만 회분에 달한다.
이런 가운데, 정부는 코백스 퍼실리티(COVAX Facility·국제 백신 공유 프로젝트), 화이자, 모더나 등 개별 제약사 등으로부터 올해 각각 1748만 회분, 1억2594만 회분의 백신을 들여오기로 지난해 계약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 따가운 시선이 예상된다.
정부는 계약 철회를 추진해 코백스 퍼실리티와의 계약은 큰 손실 없이 취소할 수 있었지만 화이자, 모더나 등과의 계약은 철회하지 못했다.
정부는 범정부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화이자, 모더나 등 개별 제약사와 올해 계약한 백신 1억2594만 회분의 재조정 협상에 나섰다.
전체 도입 물량을 줄이는 것은 계약상 어려워 정부는 백신 도입을 늦추는 협상을 진행 중이다. 지난해에도 백신 7000만 회분 도입을 올해로 늦춘 적이 있다. ‘mRNA’ 백신 유통기한은 6∼9개월이다.
백신 접종 속도가 크게 떨어진 것은 접종 대상자가 많지 않기 때문이다. 18세 이상 성인의 96.4%가 2차 접종까지 마쳤다. 60세 이상 고령층은 89.2%가 3차 접종을 끝냈다.
화이자, 모더나 백신은 한 회분 가격이 최소 2만 원 이상으로 알려져 있어, 새로운 백신 접종 수요를 찾지 못할 경우 막대한 국고 손실이 불가피하다.
이런 가운데 정부는 일반 고령층의 4차 접종을 검토하고 있다고 7일 공식화했다. 구체적인 연령 기준은 논의 중이다.
아울러 코로나19 감염 이력자에 대한 3차 접종 권고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지금은 코로나19 완치자는 2차 접종까지만 권고한다.
코로나 백신 접종은 감염 및 확산 방지를 이유로 시행됐지만 3차 접종 완료 후에도 돌파감염 사례가 많은데다 백신 접종 후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에 대한 불안감도 여전해 이에 대한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한상진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