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중공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에 따른 상하이 봉쇄 장기화로 한국 기업의 글로벌 공급망이 심각한 타격을 받으면서 ‘리쇼어링’ 등 안전한 공급망 구축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상하이시는 봉쇄 장기화로 경제 타격이 커지자 기업들의 부분 조업을 허용했지만 중국의 물류의 의존도가 높은 한국 기업들은 공장 폐쇄와 도로 봉쇄 등에 따른 공급 차질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난 4월 ‘미국의소리(VOA)’가 인용한 해운업계 소식통에 따르면, 상하이 폐쇄로 인해 중국 본토 다른 지역과 상하이 항구를 오가는 트럭 운송 흐름이 평소보다 30% 감소해 운송시간이 몇배나 지연되고 있다.
이는 중국산 부품에 의존하는 국내 기업들에게 큰 타격을 주었고, 일부 기업은 제품 생산에 차질을 겪었다.
지난 4월 한국 GM의 부평1공장은 중국 부품 공급 업체의 공급 차질로 정상 가동률이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으며, 현대차 캐스퍼 위탁 생산업체인 광주 글로벌모터스도 나흘간 조업을 중단했다.
삼성전자의 노트북 생산 계획도 중국 내 원자재 공급 부족으로 차질을 빚어 최근 고객사에 납기 지연을 통보해야 했다.
아모레퍼시픽 그룹의 상하이 공장도 4월 1일부터 가동이 중단돼 수 주간 정상 조업을 하지 못했다.
상하이 외 한국 기업이 밀집한 장쑤와 저장 등에서도 봉쇄 조치가 실시돼 우리 기업들의 어려움은 가중되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 기업의 ‘리쇼어링(국내 복귀)’ 독려가 차기 정부의 핵심 정책과제가 될 전망이다.
차기 대통령 인수위는 기업인의 본국 귀환 장려를 차기 정부의 핵심 정책과제로 삼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VOA는 전했다.
인수위 권영세 부위원장은 최근 “상하이 봉쇄로 300개 이상의 한국 기업이 큰 타격을 입었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인수위는 현재 새 정부의 주요 정책과제로 기업 귀환 촉진을 검토하고 있으며, 귀환 기업에 대해 보조금, 조세 감면 등의 우대조치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재천 서강대 국제대학원 교수는 VOA와의 인터뷰에서 “공급망 회복탄력성이 차기 정부의 경제 안보 정책의 핵심이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는 지난해 “문재인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이 자동차 배터리, 희토류, 제약산업 등의 공급망 회복탄력성 강화를 위한 협력에 합의했다”며 “일종의 중국 배제정책”이라고 전했다.
중국에 대한 한국의 지나친 경제 의존은 오래전부터 개선 필요성이 지적돼왔다. / 진실탐사대
권민호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