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05.23(금)
페이스북 바로가기 트위터 바로가기
  • 중국

  • 국제/국내

  • 특집

  • 기획

  • 연재

  • 미디어/방송

  • 션윈예술단

  • 참여마당

  • 전체기사

검색어 입력

국내 어린이 '미디어' 사용... 국제 권장 기준 3배↑

디지털뉴스팀  |  2024-02-10
인쇄하기-새창

[SOH] 우리나라 어린이들의 ‘미디어 사용 시간’이 지나치게 긴 것으로 나타났다.

6일 한국언론진흥재단이 공개한 '2023 어린이 미디어 이용 조사' 내용에 따르면 지난해 만 3∼4세 아동이 TV, 스마트폰, 태블릿PC, 컴퓨터 등 미디어를 사용한 시간은 하루 평균 184.4분으로 3시간이 넘었다. 3∼9세 아동 전체의 하루 평균 미디어 이용 시간은 185.9분이었다. 

연령대별로는 7∼9세가 196.9분으로 가장 길었고 5∼6세가 169.0분으로 가장 짧았다.

3∼9세 어린이의 75.3%는 유튜브를 이용하고 있으며 이들 아동의 하루 평균 유튜브 이용 시간 83분으로 조사됐다.

어린이 17.6%는 온라인 동영상을 제작한 경험이 있었으며 그 비율은 7∼9세 아동의 경우 23.9%로 더 높았다.

어린이의 57.7%가 생후 24개월 이전에 TV를 시청하기 시작하고, 29.9%가 스마트폰을 사용하기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미디어 수단은 스마트폰(77.6%)이었다. 그 다음으로는 스마트 TV(65.6%), 태블릿PC(57.1%), 컴퓨터(24.7%), 일반TV(17.1%), 게임 콘솔(16.6%), 인공지능 스피커(12.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보호자가 어린이에게 스마트폰 이용을 허락하는 가장 큰 이유는 '아이의 스트레스 해소·기분전환'(50.8%)이었으며 '아이가 할 일을 다 하거나 말을 잘 들었을 때의 보상'(38.5%)이 뒤를 이었다. 
보호자가 다른 일을 하는 동안 아이에게 방해받지 않기 위해 허용한다는 답변(18.3%)도 있었다. 

이번 조사에서 나타난 국내 어린이들의 미디어 사용 시간은 세계보건기구(WHO)가 정한 기준의 3배를 넘는다. WHO는 2∼4세의 미디어 사용 시간을 하루 1시간 이내로 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어린이·청소년의 지나친 미디어 사용은 인지 기능 손상 및 정신 건강 문제, 정상적인 뇌 발달 방해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번 조사는 전국에 거주하는 만 3∼9세 어린이의 보호자 2천675명을 상대로 작년 10월 26일∼12월 8일 실시됐으며 표본오차는 ±2% 포인트(95% 신뢰수준)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관련기사
  목록  
글쓰기
번호
제목 이름 날짜
1238 4·10 총선 코앞... 中 여론·선거 도발 주의 要
디지털뉴스팀
24-03-30
1237 서울 시내버스 노사 총파업 철회... 협상 타결로 정상 ....
디지털뉴스팀
24-03-28
1236 국민 10명 중 8명 “보수·진보 갈등 심각”
하성진 기자
24-03-28
1234 의대 교수들 줄사직 시작... 예정대로 외래 진료 축소
디지털뉴스팀
24-03-26
1233 충남학생인권조례 다시 폐지... “학생 인권만 강조, 교....
김주혁 기자
24-03-25
1232 中 문화공정 여전... 해외서 우리 춤추고 쇼핑앱선 우리....
디지털뉴스팀
24-03-22
1231 인권위, 고교 20분 아침 운동에 “부당한 인권 침해”
디지털뉴스팀
24-03-22
1230 36주 태아 낙태해도 처벌 無... 국회, 4년 넘게 관련법 ....
디지털뉴스팀
24-03-21
1229 韓 ‘혼인’ 10년새 40% 감소... “돈 없어서 못해”
디지털뉴스팀
24-03-20
글쓰기

특별보도

더보기

핫이슈

더보기

많이 본 기사

더보기

SOH TV

더보기

포토여행

더보기

포토영상

더보기

END CCP

더보기

이슈 TV

더보기

꿀古典

더보기
446,834,233

9평 공산당

더보기